서울대 강봉균 교수팀, 학습 전 경험과 기억의 새로운 분자 연결고리 규명
기억은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으로 나뉜다. 우연히 마주친 사람이나 경험 등은 곧 잊혀지므로 단기기억에 해당되며, 반복 경험이나 충격적인 경험과 같이 거의 평생 동안 잊지 못하는 기억은 장기기억에 해당된다. 단기 기억과는 달리 장기 기억 형성에는 새로운 유전자 및 단백질의 생성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는데, 단백질 중에서 특히 장기 기억의 형성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것이 'CREB'과 'C/EBP'라는 이름의 단백질이다. 그 중에서도 'C/EBP'는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분자 스위치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이미 강봉균 교수 연구팀이 밝힌바 있다.
이번에 새롭게 밝혀진 사실은 바다달팽이인 군소에서 찾은 새로운 단백질 'ApLLP'가 흥미롭게도 학습하기 전 특정 경험에 의해 양이 증가되며, 이러한 증가가 분자 스위치인 'C/EBP' 단백질 양의 증가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ApLLP에 의한 C/EBP의 증가는 시냅스 (신경세포들 사이의 신호 전달이 일어나는 부위)에서의 신호 전달 기능을 강화시켜 장기기억이 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 전 경험과 학습 능력 사이의 분자적 실마리를 제공함으로써 시냅스에서 장기 기억 형성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있다.
강 교수 팀의 제 1 저자인 김 형 박사과정생에 따르면 사람에도 유사한 단백질들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단백질의 양을 조절하여 기억 형성 및 저장 능력을 조절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한지 밝히는 일은 앞으로 연구해야할 과제이다.
강 교수 팀의 이번 연구 성과는 3월 2일자 뉴런 (Neuron)지에 발표되었다.
웹사이트: http://www.snu.ac.kr
연락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강봉균 교수 02-880-7525, 5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