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이슈현장...“용인, 분당 게 섰거라”
판교, 광교신도시 겹호재
교통여건 개선 아파트 값 반영될 듯
판교 분양(3월29일)이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주변 아파트 값 동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강남벨트로 통하는 강남~분당~용인 지역으로 집값 상승세가 옮겨가는 모습 역시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짐작하게 하고 있다. 분당이 올 초 대비 현재 4.29%의 변동률을 나타낸 것에 비해 용인은 같은 기간 동안 4.53%의 상승폭을 형성했다. 용인 아파트 값 오름폭이 높아지기 시작한 것은 지난 2월. 판교 호재를 업고 1월 들어 급등세를 나타내던 분당이 주춤한 모습을 보임과 동시에 이에 질 새라 용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분당 집 값 상승률을 단숨에 따라잡은 것이다. 특히 분당에서 죽전지구을 따라 수지지구까지 이어지는 길목에는 판교뿐 아니라 광교신도시, 도로 건설 등 여러 호재가 겹겹이 있어 안정적인 아파트 값 상승이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게 용인 일대 공인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수원 이의동, 하동 등을 비롯해 용인시 상현동 일대로 이어지는 광교신도시(2010년 완공 예정) 건설은 판교신도시와 더불어 용인 일대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성남 정자~용인 수지~광교~화서역을 잇는 신분당연장선(2014년 완공 예정)과 용인~양재 간 고속도로도 2008년 개통 예정에 있어 교통 수혜까지 예상되고 있다. 죽전동 내 B공인 관계자는 “내년 죽전사거리 인근에서는 분당선 죽전역과 함께 신세계백화점 들어서면 생활편익까지 일대 아파트 값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죽전동 일대 아파트 값은 현재 이 같은 호재를 업고 들썩이고 있다. 인근 중개업자들은 중대형 평형의 경우 평당 1,400만~1,500만 원 가량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고 전한다. 현재 죽전현대홈타운 4차 1단지 50평형의 경우 6억~7억 원 가량에 거래되고 있다.
강남 재건축 규제, 판교 전매금지 강화
용인 대체 투자처로 각광
판교와 가까운 죽전 일대부터 용인 서남부로 이어지는 수지지구 중간에 위치한 풍덕천동 일대 역시 두 신도시 사이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풍덕천동 인근 공인 관계자는 “풍덕천동은 죽전지구와 수지지구의 사이에 있어 두 지역 아파트값에 모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풍덕천동 삼성래미안 5차 59평형의 경우 올 초보다 1,000만 원 가량 오른 5억 9,000만~7억 2,000만 원 선에 거래가가 형성돼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용인 내 호재 외에도 투자전망 전망이 흐린 주변 지역 부동산 시장도 이 지역 집 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입을 모은다.
신봉동 B공인 관계자는 “판교, 광교 등 개발호재 영향으로 아파트 값이 오른 것은 분명하지만 판교를 대체할만한 투자처를 찾는 수요자들이 이 지역으로 몰리는 것도 가격 상승의 다른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판교신도시 중소형 아파트의 경우 10년간 전매할 수 없어 투자자들은 물론 실수요자들도 판교 청약을 부담스러워한다”고 전했다. 부동산에 현물 재산을 상당부분 묻어두는 서민들의 경우 환금성이 떨어지는 판교 청약에 선뜻 나설 수 없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강남 일대에서 남하하는 매수세 역시 용인 집값 상승에 한 몫하고 있다.
H공인 관계자는 “강남 재건축 아파트 규제가 심해지자 분당·용인 지역으로 눈을 돌리는 투자자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판교 청약을 희망했던 사람들이 용인으로 선회하면서 많이 찾는 지역은 신봉, 성복동 일대 신규아파트 단지. 이 지역은 광교신도시와 인접한 상현동과 가까울 뿐 아니라 이미 쾌적한 주거지역으로 각광받으며 투자자들을 끌고 있는 곳이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투자처를 원하는 구매자들을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신봉동 신봉자이2차 60평형의 경우 올 초 대비 현재 1,000만~1,500만 원 가량 오른 9억~10억 원 선에 거래되고 있다. B공인 관계자는 “교통여건 개선, 인근 지역 신도시 개발 등 미래가치가 큰 만큼 주변 지역에 비해 가격 경쟁력은 더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기업마케팅팀 김혜진 02-2185-7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