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원회수시설 주변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 연구 결과

서울--(뉴스와이어)--

연구목적 및 기간

`자원회수시설 주변지역 주민 건강영향 조사 연구'는 현재 가동 중인 3개 지역의 자원회수시설로 인한 환경, 인체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조사를 위한 목적으로 지난 3년간(2000. 10 - 2004. 8)수행 되었다.

대상지역

서울에 위치한 자원회수시설 주변지역(양천구, 노원구, 강남구)과 참고지역(자원회수시설 미설치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자원회수시설 주변 반경 300m이내에 3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과 자원회수시설 근로자 그리고 참고지역에서 3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을 선정하였다.

조사 연구결과

1. 인체영향평가
자원회수시설 주민의 혈중 다이옥신 평균 농도는 혈액지방 1그램당 평균 10.75 피코그램(pg I-TEQ/g lipid, 양천 13.39, 노원 6.55, 강남 9.50)이었으며, 참고지역 주민은 10.24 피코그램, 자원회수시설 근로자는 9.89 피코그램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 중 서울시 일반주민 혈액에서의 다이옥신류 농도는 독일, 네덜란드 등 유럽(14∼43 피코그램), 미국 등 북아메리카(19∼27 피코그램) 및 일본(20∼22 피코그램)에서의 일반인 노출 수준과 유사하거나, 조금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혈중 다이옥신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흡연에 의한 영향을 제어하고 각 노출군간의 농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비흡연자만을 대상으로 혈중 다이옥신 농도를 비교하였다.

비흡연자의 혈중 다이옥신의 평균 농도는 해당지역주민은 혈액 지방 1그램(g)당 10.61 피코그램(pg I-TEQ/g lipid), 참고지역 주민은 12.84 피코그램, 자원회수시설 근로자는 7.88 피코그램이었으며, 각 노출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혈중 다이옥신 농도는 지역이나 직업적 노출 유무에 의한 영향보다는 연령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당지역주민 중 비흡연자의 경우, 50대 주민의 경우 11.27 피코그램, 40대 평균 10.38 피코그램, 30대 평균 8.46 피코그램, 20대 평균 8.33 피코그램으로 나타나, 40대 이상의 혈중 다이옥신 농도가 20대, 30대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자원회수시설 인근 주민의 혈중 납(Pb) 평균 농도는 54.6 ㎍/ℓ로서, 세계보건기구(WHO)의 일반인 노출기준(100㎍/ℓ)을 초과하지는 않았다.

2. 건강영향평가
문진 및 기초 임상검사를 통한 건강영향 평가에서는 자원회수시설 주변 지역주민과 근로자에게서 유해 물질의 노출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건강 이상 소견은 없었다.

환경 위해에 따른 위해도 인식과 삶의 질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는 자원회수시설 주변 주민의 생활환경과 전반적인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참고지역 주민보다 낮았으며, 자원회수시설로 인한 위해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3. 환경영향평가
연구대상지역의 모델링 결과, 자원회수시설 굴뚝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인한 주변지역 대기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기간 동안 측정된 미세먼지(PM-10)의 농도는 모든 지역에서 대기규제기준치(24시간 : 120㎍/㎥) 미만 으로 평가되었다.

미세먼지 중 중금속 (납, 크롬, 니켈, 카드뮴)의 농도는 지역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납(Pb)의 경우, 기준치(연평균 : 0.5㎍/㎥)보다 낮은 농도로 평가되었다.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류 및 알데히드류 농도는 연구대상지역에서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지역간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8종의 악취 물질은 모든 지점에서 환경부의 악취배출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이상과 같은 총 3개년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까지 자원회수시설에 의한 대기 영향, 인체 및 건강 영향, 전반적인 삶의 질의 의미있는 차이를 관찰할 수 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적 차이는 다소 있으나, 자원회수시설 주변지역 주민들의 자원회수시설 자체에 대한 호의적이지 않은 태도가 생활환경영역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3년간의 연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3년간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자원회수시설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자원회수시설의 지속적인 관리와 적정한 운영
둘째, 자원회수시설 외형의 개보수 및 주변경관 시설
확충을 통한 환경친화적 이미지로의 변화
셋째, 자원회수시설주변의 환경모니터링 시스템구축과
주변지역주민의 지속적인 건강영향조사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환경국 청소과 김도기 02-3707-959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