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대규모 투자유치로 ‘신에너지산업’ 육성 박차
올해도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한 국비를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확보하여 태양광, 태양열,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을 위한 기반구축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 번 태양광 및 연료전지 발전시설에 총400억원(발전규모 4.55MW)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한 것은, 지난 1월 12일 수완택지지구에 1,800억원 규모의 구역형 집단에너지사업 유치에 이은 또다른 쾌거로 한전 광주이전과 함께 태양에너지도시건설에 더욱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3월 9일 박광태 광주광역시장은 한국중부발전(주) 정장섭 사장과 광주제1하수처리장, 도시철도공사 옥동차량기지,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 등 3개소에 약36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하여 4.3MW 규모의 태양발전시설과, 동구위생매립장에 약40억원의 사업비로 250kW의 연료전지 및 마이크로가스터빈 발전시설과 500평 규모의 유리온실 사업을 추진한다는데 합의하고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이 번 투자유치로 생산되는 발전량은 년간 7천MWh로서 18천세대가 사용할 수 있는 양이며, 온실가스인 메탄가스를 재활용하므로써 기후변화협약 대응은 물론,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년간 1,075톤 정도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이 번에 설치되는 태양광 및 연료전지 발전시설은 전력생산에만 그치지 않고 태양에너지도시로서의 지역 이미지 제고효과까지 거둘 수 있도록 다양한 시설에 적용된다.
서부농수산물 도매시장은 차광시설을 겸한 태양광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입주상인들의 편익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동구위생매립장에 설치되는 연료전지 발전시설은 전국 최초로 매립장 발생가스인 LFG를 이용한 연료전지 및 마이크로 가스터빈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이전까지 유례가 없는 새로운 발전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며,500평 규모의 유리온실에 난방열과 배기가스를 공급하여 수경재배 등에 활용하므로써 인근주민들의 소득증대와 기피시설에 대한 환경친화적인 이미지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도 광주시와 한국중부발전은 음식물쓰레기 혐기성가스 발전사업과 태양에너지 도시로서의 랜드마크(Land Mark) 설치 등을 포함한 각종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발굴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한편, 광주시는 그동안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과 함께 태양에너지도시건설을 의욕적으로 추진해 국내·외적으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번 MOU체결로 미래성장동력산업인 신에너지산업육성 선점은 물론, 한전 이전에 따른 에너지혁신도시건설 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광주시는 태양에너지도시 광주를 국제적으로 알려 도시이미지 제고와 관광자원화를 도모하기 위해 금년 4월 영국 옥스퍼드시에서 개최하는 세계솔라시티협의회에 참가하여 국제교류와 홍보도 강화할 계획이다.
2006년도 지역에너지 사업계획
81억원(국비57, 시비18.5, 자부담5.5)
-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 보급 : 26억원(국비18, 시비8)
- 태양에너지 교육·홍보관 구축 : 10억원(국비7, 시비3)
- 태양광 발전(5개소 140kW) : 17억원(국비12, 시비2.5, 자부담2.5)
- 태양열 급탕(7개소 440㎡) : 5억원(국비3, 시비1, 자부담1)
- Solar Sports Park(풍암공원 내) 조성 : 14억원(국비11, 시비1.5, 자부담1.5)
- 기타(LED 교통신호등설치 외 3개사업) : 9억원(국비6, 시비2.5, 자부담0.5)
광주광역시청 개요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윤장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가고 있다. 더불어 사는 광주, 사람중심 생명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광주광역시청 과학기술과 과 장 양정식 062-613-3930
광주광역시청 공보관실 오승준 062-613-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