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토속 민물고기 산천어 생산방류’

전주--(뉴스와이어)--전라북도 내수면개발시험장(장장 박규석)에서는 청정계곡 1급수역에서 서식하는 산천어 치어 2만 마리를 진안군 금강 상류와 장수군 지지천에 자연생태계 복원과 토속어종 자원회복을 위하여 방류한다.

이번에 방류하는 산천어 치어는 우리 도에서는 처음 생산한 것으로 작년 10월 어미를 확보하여 채란, 수정, 부화 및 성육과정을 거쳐 체장 5㎝ 내외로 성장된 것으로 진안군 금강 상류와 장수군 지지천에 각각 1만마리를 3. 14~16 사이에 방류할 계획으로 2년후에 20~30㎝로 성장하여 지역주민의 소득 증대와 우리 도내에 희소한 산천어의 개체수 증가로 토속어종증강에 크게 기여 하리라 본다.

또한 내수면개발시험장에서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9개품종에 총 3,214천마리, 수정란 138백만알(잉어 1,117, 붕어 879, 메기 146, 동자개 21, 자라 3, 참게 858, 다슬기 190천마리/빙어 132, 은어 6백만알)을 도내 14개 시·군 저수지 및 하천, 강 등에 방류하여 농·어업인 소득에 기여한 바 있다.

‘06 산천어 방류사업 추진

내수면개발시험장 사업개요
4개 사업- 40백만원
종묘생산 및 자원조성 : 참게등 7종 700천마리
인공수정란 방류 : 빙어 30백만알
먹이개발등 시험연구 : 6종(참게,다슬기,황복,우렁이,은어,철갑상어)
내수면자원 및 생태조사 : 년 4회 (분기별)

"산천어 방류"사업계획
사 업 량 : 20천 마리 (체장 5㎝내외)
사 업 비 : 2,000천원 (도비)
방류일시 : 2006. 3. 14~3. 16 (3일간)
방류장소 : 2개소 (진안 금강상류, 장수 지지천)
※ 우리 도에서는 처음 실시하는 사업임

추진상황
어미구입 : 2~3년생 170마리 구입확보 (충북 제천)
채란수정 : 복개법으로 채란 (55,000알)
먹 이 : 분말사료 및 초기미립자사료 등

금후계획
생 산 : 실내사각 수조(3개소)에서 체장 5㎝ 내외로 사육
방 류 : 2006. 3. 14~3. 16 (2일간)
효 과 : 자연생태계복원과 개체수 증가로 토속어종 자원증강
2년후 8톤 생산, 104백만원 소득
20천마리 × 40%(생존율) × 1㎏ × 13,000원/㎏

〔참고자료〕
(산천어 학명 : Oncorhynchus macrostomus 연어과)
방언 : 곤들메기, 곤들송어, 반어등
형태 및 생태
크 기 : 20~30㎝ (적온 4~20℃)
체 형 : 산천어는 송어의 육봉종으로써 송어가 바다로 내려가지 않고 강에 남아서 성숙하였을때 이것을 산천어라고 한다.(단일종)
색 채 : 4~5월경에는 몸의 옆면이 황금색으로 변하고 배는 은백색이 되지만 여름을 지나 가을이 되면 몸의 옆면은 검은빛을 띠며 등쪽과 배쪽에는 작은 흑점이 빽빽하게 흩어져 있으며 등지느러미의 끝부분에는 흑색 반문이 없다.
서 식 : 물이 맑고 수온이 한여름에도 20℃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곳
성 장 : 10~11월에 산란을 하고 부화후 만 2년이 지나면 전장이 20㎝내외로 성장하며, 수컷은 부화후 만 1년이면 성숙하는 것도 있지만, 암컷은 만 3년 이상이 되어야 성숙한다.
식 성 : 육식성으로 동물성플랑크톤이나 각종 수서곤충을 잡아먹는다.

양식과정
채 란 : 2~3세(1~2㎏) 어미 인공채란 (건도법)
먹 이 : 부화 후 난황을 흡수한뒤 배합사료공급
양 성 : 1㎡당 4g내외의 치어 600~900마리 방양하여 양성

전라북도청 개요
전라북도청은 186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송하진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송하진 도지사는 한국 속의 한국, 생동하는 전라북도를 토대로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창의롭고 멋스런 문화, 알뜰하게 커가는 경제, 따뜻하고 정다운 복지, 아름답고 청정한 환경을 도정방침으로 정했다.

웹사이트: http://www.jeonbuk.go.kr

연락처

전라북도청 내수면개발시험장 담당자 최규성 063-262-0226
공보관실 김종삼 063-280-203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