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정치망수협 자율적인 수산자원 보호활동’ 펼쳐

서울--(뉴스와이어)--올해 경남정치망수협과 전남정치망수협이 공동으로 펼치는 어린고기(稚魚) 포획 방지 등 수산자원보호 활동 선포식이 17일 오후 2시 부산공동어시장 회의실에서 열린다.

이날 행사에는 최장현 해양수산부차관보를 비롯해 양수협 조합장, 경남도·전남도 관계관, 국립수산과학원, 정치망어업인 등 약 100명이 참석해 지난해 추진실적을 평가하고 올해 활동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양 수협은 이날 수산자원보호를 위한 주요 활동계획으로 ▲정치망(定置網) 그물에 잡힌 어린고기의 안전한 방류 ▲작은 그물코(細網) 사용금지기간 설정 ▲자율적인 감시·감독 활동을 적극 펼쳐 나가기로 했다.

이에 앞서 양 수협은 정치망어업을 생태·환경친화적인 어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수산자원보호 활동을 실천할 것을 표방하고 지난해 9월13일 자율적인 치어보호 활동 실천 출범식을 갖고 본격적인 수산자원보호 활동을 시작했다.

그 결과 지난해 4개월 동안 정치망 그물에 잡힌 여러 종류의 치어(갈치, 돔, 병어, 붕장어, 전갱이, 고등어 등) 14톤을 살아있는 상태로 바다에 안전하게 방류하고, 방류 일시와 어종에 대해서는 참여자가 매일 일지로 기록·작성했다.

또 일부 어업인은 자율적으로 일정기간 동안 세망(細網)을 사용하지 않도록 해 치어가 원천적으로 포획되는 것을 방지했다.

이와 관련, 해수부는 어업인의 자율적인 수산자원보호 활동에 대해 보조금 지원을 제외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해 정치망업계의 경쟁력 제고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그동안 추진실적을 평가하여 참여 어업인 중 수산자원보호 활동이 우수하고, 의식개혁에 앞장 선 어업인 5명(경남 3, 전남 2)에 대해 해양수산부장관 표창을 수여한다.

양 정치망수협의 현안사항과 애로사항에 대해서도 정부의 수산자원관리 정책과 부합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검토해 제도적으로 개선·반영할 계획이다. 또 일본의 정치망어업 시찰을 주선하고, 정치망에서의 해파리 피해 방지기술 개발, 어업정보제공 등 정책적 배려와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같은 정치망어업의 성공적인 수산자원보호 활동을 바탕으로, 정치성·이동성 구획어업, 기선권현망, 안강망 등 연안에서 치어를 많이 혼획·포획하고 있는 어업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연안에서 치어 포획을 방지하고 치어를 보호하기 위한 로드맵(Road Map)을 어업별, 해역별 실태조사와 전문가·어업인과의 협의를 거쳐 연내에 완성하고, 수산자원계획과 연계하여 내년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 개요
해양수산부는 대한민국 해양의 개발·이용·보존 정책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국민에게 힘이 되는 바다, 경제에 기여하는 해양수산을 목표로 설립됐다. 해양수산 발전을 통한 민생 안정, 역동 경제, 균형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f.go.kr

연락처

해양수산부 어업자원국 어업정책과 과장 김이운 02-3674-6914
해양수산부 홍보관리관실 팀장 박노종 02-3674-601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