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제 3회 모바일 솔루션 포럼 개최

뉴스 제공
삼성전자 코스피 005930
2006-03-21 10:04
서울--(뉴스와이어)--14년간 지속되는 세계 메모리 시장 석권의 위업과 플래시 메모리 신화를 바탕으로, 모바일 시대 세계 최고 경쟁력을 갖춘 토탈 솔루션 업체로 거듭 나고 있는 삼성전자가 지난 21일 臺灣 웨스틴 호텔에서『삼성 모바일 솔루션 (SMS, Samsung Mobile Solution) 포럼 2006』을 개최했다.

삼성전자 側에서는 반도체총괄 황창규 사장을 비롯, 총괄內 메모리 및 시스템 LSI 사업부, LCD 총괄 소속 관련 임원이 참석했으며, 특히, 모바일 기기向 고용량 리튬이온 전지 소개를 위해 삼성 SDI 소속 임원도 참석, 눈길을 끌었다.

대만 側에서도 현지 PDA, 휴대폰, ODM 업체 등 IT 업계 관계자 1천여 명이 참석, 성황을 이루었다.

올해 세번째로 열리는『SMS 포럼』은 오전에 황창규 사장의 개막 연설을 시작으로, 모바일 솔루션 개발실장 우남성 부사장, 메모리 상품기획팀장 정태성 전무, 모바일 디스플레이 개발팀장 김형걸 전무의 기조 연설이 이어졌으며, 오후에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모바일 CPU, 카메라 솔루션, DDI 솔루션 등 총 7개 분야의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 날 행사에서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 32기가바이트 플래시 SSD, 모바일폰向 대용량 MLC 낸드플래시 솔루션 (moviNAND), OneNAND 채용 외장형 메모리 카드, DVB-H(유럽향) 방송 수신칩 솔루션, 세계최초 디지털TV급 영상 처리용 모바일 AP 等 총 5種의 모바일 반도체 솔루션과 함께 LCD 총괄의 단일 Chip Triple Gate 기술, SDI의 업계 최고용량 리튬이온 전지 等 차세대 모바일 기기向 핵심 新개발 제품을 대거 선보여 참석자들의 많은 관심을 모았다.

한편, 대만 HTC, 마이텍(MITAC), 라이트온(Lite On), 톰톰 (Tom Tom) 등 대만 소재 10여개 업체들도 삼성의 모바일 솔루션을 탑재한 PDA,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의 신제품을 선보임으로써 명실공히 이 행사가 삼성이라는 세계 최고의 모바일 솔루션 업체와 이를 채용하는 주요 커스토머들이 함께 참여하는 세계 수준의 모바일 포럼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황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지금 세계는 IT의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모바일 기기에 융복합화되는 '모바일 컨버전스 (Mobile Convergence)' 와 모바일 기기의 영역이 다양화되는 '모바일 다이버전스 (Mobile Divergence)' 가 공존하는 모바일의 새로운 물결, 이른바 'New Mobile Wave' 가 진행 中이며, 그 바탕에는 삼성전자의 최첨단 반도체 기술이 있다"고 전제하면서, 삼성이 주도해 나갈 새로운 모바일 시대의 비전을 제시했다.

휴대폰에 부가되는 카메라, MP3 等은 아무래도 본래 목적의 카메라, MP3에 비해서는 그 성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결국, 휴대폰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컨버전스 (Mobile Convergence)'는 그것대로 진행되면서, 카메라, MP3의 본래 시장도 固有의 성능을 극대화시키며 더욱 새로운 모습으로 지속될 전망이다.

즉, 모바일 인더스트리는 '컨버전스(Convergence)' 와 함께 '다이버전스 (Divergence)' 현상이 加勢하면서 상호 상승작용을 통해 시장이 급성장할 전망인데, 이것이 바로 'New Mobile Wave' 개념의 핵심이다.

마치, 인터넷 신문의 확산에도 불구, 종이신문 역시 건재하고 있는 것과 같은 理致다.

이어서 황사장은, "이 'New Mobile Wave'는 시간을 거듭할수록 다기능/고성능 디지털 기기를 요구하고 있어 삼성과 같은 모바일 솔루션 업체는 고객과 함께 호흡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앞으로 삼성은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더욱 친숙한 '고객 친화적인 Mobile Mate' 가 될 것" 임을 다짐했다.

또한 황사장은, "'New Mobile Wave' 시대에 들어선 以上 모바일 솔루션을 공급하는 업체라면, 現 시점에서 고객이 원하는 솔루션은 물론, 지금은 당장은 아니더라도 고객이 앞으로 요구할 가능성이 있는 솔루션까지도 사전에 파악, 고객이 원하는 시기에, 고객이 원하는 퀄리티로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수적인데, 이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모바일 토탈 솔루션'을 보유한 삼성만이 가능할 것" 이라며 자신감을 숨기지 않았다.

황사장은 특히 모바일 向 "Only 삼성 솔루션"에 대해서도 언급, "이는 삼성이 모바일 반도체 시장을 독점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라, 시장 초기에는 삼성 반도체의 차별화 기술을 바탕으로 세트 시장의 차별화를 선도하고,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부터는 경쟁사들의 참여를 유도, 업계 표준화를 주도 하겠다는 의미로, 고객 입장에서도 'Sole Vendor 체제'로 인한 리스크를 걱정할 필요는 없다" 면서, "특정 시장에서 삼성만이 유일하게 공급 가능한 솔루션의 경우라도, 삼성은 제품의 퀄리티, 납기 等 고객만족을 위한 모든 분야에서 뼈를 깎는 혁신활동을 통해 '함께 하면 안심이 되는 Mobile Mate' 라는 인식을 고객사들에게 반드시 심어 줄 것임" 을 재차 다짐하였다.

세계적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iPod nano에 공급되는 삼성의 낸드플래시 솔루션은 이미 애플이라는 고객에게나, MP3를 사용하는 전세계 젊은이들에게나 최상의 'Mobile Mate' 로 자리 잡은 바 있다.

하지만, 이제 삼성은 실생활에 깊이 파고 들어 생활 필수품으로까지 인식되는 플래시 메모리 外에도, 저비용으로 칩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반도체 시장의 새로운 판도를 예고하는 퓨전 반도체, "1인 1카메라 시대"를 가능케 한 이미지 센서 등 지금 진행 中인 "New Mobile Wave' 시대를 더욱 발전시킬 핵심 모바일 솔루션을 두루 갖추게 되어, 전 세계 고객사들은 물론, 모바일 문화에 열광하는 전세계 젊은이들에게 가장 친숙한 "Mobile Mate"로 각인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황사장은 차차세대 반도체 미래기술에 대해서도 언급, "Nanowire, MBC(Multi Bridge Channel) FET 等 삼성은 테라급 초정밀 기술까지도 구현 가능한 차차세대 반도체 미래기술의 개발을 이미 완료하였는데, 관련 논문은 IEDM, VLSI 등 최고 권위의 반도체 학회에서 최우수 논문, Highlight 논문 等으로 선정된 바 있다.

앞으로 삼성은 이 분야에 대해 공격적인 투자와 우수인력을 최우선적으로 투입, 더욱 拍車를 가해 나갈 계획" 임을 밝혔다.


1. 32GB 플래시 SSD (Solid State Disk)

1) 제품 특성

SSD는 하드디스크 (HDD : Hard Disk Drive)와 동일한 용도의 PC 데이터 저장장치로, HDD에서 사용되는 디스크 대신 낸드 플래시를 채용, 고속의 데이터 입출력 속도와 저소음을 실현한 최첨단 제품이다.

플래시 SSD는 HDD 대비 무게는 절반에 불과하나, 3배의 읽기속도, 1.5배의 쓰기속도를 구현하고 있으며, 전력소모 역시 HDD 대비 5% 수준인 초절전 제품이다.

또한, 기존 HDD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던 모터 및 기계적 구동장치가 불필요해 짐으로써 무소음의 장점도 동시에 갖추고 있다.

2) 개발 의의

금번 32GB SSD 개발은 낸드 플래시의 응용분야를 기존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등에서 모바일 PC 분야까지 확대하였다는 데 가장 큰 의의가 있는 바, '06년은 낸드 플래시가 PC 시장에 진입하는 원년이 될 전망이다.

결국, 삼성의 이번 개발은 SSD가 앞으로는 모바일 PC 外에도 하드 디스크가 적용되는 現存하는 모든 디지털 제품으로 본격 확대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최근 일부에서 제기되는 시장성장 정체의 우려를 충분히 불식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SSD는 '06년 이후 연평균 70% 대의 성장을 거듭, '06년 5.4억불 시장에서 '10년에는 45억불 규모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2. 모바일 폰向 대용량 낸드플래시 솔루션 (moviNAND)

1) 제품 특성 삼성이 최근 개발에 성공한 moviNAND는, 낸드 플래시와 메모리 카드 구동에 필요한 컨트롤러를 하나의 패키지에 구현한 새로운 모바일 솔루션이다.

이를 채용할 경우, 별도의 컨트롤러 없이도 대용량 낸드플래시 적용이 가능해짐으로써 모바일폰 업체 입장에선 컨트롤러 원가 절감은 물론, 개발일정도 단축할 수 있는 이른바 "고객 친화적 모바일 솔루션" 이다.

더구나, 이 제품은 경쟁사 對比 제품 Size는 작지만, 더욱 高速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제공하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2) 개발 의의

세계최소형 사이즈 패키지 적용으로 모바일 제품 채용이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시스템 LSI 사업부의 메모리 카드 컨트롤러가 메모리 사업부의 낸드플래시와 결합되는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이 제품 매출은 '06년 3억불에서 '08년 53억불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3. OneNAND 채용 MMC (Multi Media Card)

1) 제품 특성

삼성이 모바일 기기의 내장 스토리지用 솔루션으로 독자 개발한 퓨전 메모리인 OneNAND를 외장 메모리 카드에도 적용, 기존 낸드 플래시를 적용한 메모리 카드 對比 최대 10배, 고속 메모리 카드인 MMC 對比 약 2배 이상의 속도 구현이 가능해 졌다.

퓨전 메모리 OneNAND는 Data 램이라는 버퍼용 메모리와 컨트롤러를 낸드 플래시와 함께 하나의 Chip에 구현한 첨단 제품으로, 낸드플래시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低 Speed의 보완이 가능하다.

이번 포럼에는 32MB/64MB 제품이 시연되었는데, 삼성전자는 앞으로 512MB, 1GB 제품도 지속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2) 개발의 의의

OneNAND가 외장 메모리 카드의 솔루션으로 그 영역이 확대됨으로써,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의 고성능화에 적합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삼성의 OneNAND 매출은 '08년 10억불, '10년에는 15억불 수준으로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금번 OneNAND 채용 MMC에는 시스템 LSI 사업부의 컨트롤러를 내장, 메모리 사업부의 OneNAND와 최상의 조합을 만들어냄으로써, 반도체 총괄內 사업부間 시너지 효과도 크게 기대되고 있다.

4. 디지털 이동방송 DVB-H 솔루션 개발

1) 제품 특성

삼성전자는 금번 포럼을 통해 모바일 TV 시청을 위한 DVB-H 솔루션도 선보여 주목된다.

DVB-H란 미주 및 유럽,호주,인도 등이 채택한 디지털 이동방송 표준으로, 현재 지상파 DMB와 함께 차세대 이동방송의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삼성전자는 금번 포럼에서 지난 해 발표한 DVB-H 수신 칩셋과 자사의 모바일 프로세서, 멀티미디어 칩 등을 관련 소프트웨어와 함께 제공하는 PMP/PDA용 레퍼런스 플랫폼을 시연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모바일 TV 솔루션을 선보이게 되었다.

2) 개발의 의의

본 DVB-H 솔루션을 통해 세트 업체는 DVB-H 수신 기기의 개발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개별 칩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을 위한 번거로운 검증절차가 필요 없는 One-Stop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삼성전자는 금년 중 지상파 DMB와 DVB-H 양 규격을 동시에 지원하는 듀얼모드(Dual-mode) 솔루션 및 휴대폰용 DVB-H 솔루션을 선보여 차세대 모바일 TV 솔루션 시장을 선점해 나갈 계획이다.

세계 DVB-H용 단말기 시장은 '06년 5백만대에서 '08년 5천만대 이상으로 급속히 확대될 전망이다.

5. 세계 최초 디지털 TV급 영상 처리용 모바일 AP 개발

1) 제품 특성

삼성전자는 금번 포럼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이 대폭 강화된 모바일 AP(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도 선보였다.

H.264, MPEG4, VC-1등 최신 모바일 멀티미디어용 코덱을 전용 하드웨어로 구현, 휴대기기에서도 디지털 TV(SD)급의 동영상 압축과 재생이 가능하며, 기존 AP 제품 對比 성능 4배 향상 및 전력소모 60% 이상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제품은 TrustZone™ 등 강력한 보안 기능을 갖추고 있어 모바일 기기의 정보보호기능 강화 추세에 완벽히 대응하고 있다.

2) 개발의 의의

본 제품은 다양한 메모리를 PoP(Package-on-Package)형태로 탑재가 가능하여, 고객의 요구에 맞춘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1Gb OneNAND와 512Mb 모바일 DDR SDRAM과의 PoP 제품을 금년 하반기에 양산, PDA, PMP, 스마트폰, 모바일TV, 네비게이션 등의 제품군에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6. 삼성 반도체 차차세대 미래기술

1) Twin Si Nanowire FET 기술

세계 최초로 Gate-all-around 구조를 채택한 삼성 독자 기술로 기존 실리콘 기반 기술을 그대로 적용,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10nm 이하 나노 소자의 특성을 그대로 구현하고 있다.

이는 2015년 이후에 요구되는 나노기술 수준을 달성한 것으로 향후 이 분야에서 삼성이 리더쉽을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특허권 역시 삼성이 보유, 次次世代 고성능 메모리 상품화에도 경쟁사 대비 독보적인 우위를 점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05년 IEDM 학회에서 동 기술 관련 논문이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채택, 발표된 바 있다.

6. 삼성 반도체 차차세대 미래기술

1) Twin Si Nanowire FET 기술 세계 최초로 Gate-all-around 구조를 채택한 삼성 독자 기술로 기존 실리콘 기반 기술을 그대로 적용,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10nm 이하 나노 소자의 특성을 그대로 구현하고 있다.

이는 2015년 이후에 요구되는 나노기술 수준을 달성한 것으로 향후 이 분야에서 삼성이 리더쉽을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특허권 역시 삼성이 보유, 次次世代 고성능 메모리 상품화에도 경쟁사 대비 독보적인 우위를 점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05년 IEDM 학회에서 동 기술 관련 논문이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채택, 발표된 바 있다.

2) MBC(Multi-Bridge Channel) FET 기술

旣存 트랜지스터에서는 평면상에 만들어지는 전류 통로를 수직으로 쌓아 올림으로써 동일한 면적에서 많은 전류를 얻을 수 있는 삼성 고유의 획기적인 기술이다.

특히, 이 기술은 소자 크기가 작아지면서 나타나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삼성은 '04년 VLSI 학회를 필두로 VLSI 및 IEDM 학회에 매년 Update된 특성을 발표하고 있다.

특히, 오는 6월 VLSI 학회에서는 총 295편 논문 중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 발표될 예정이다.

7. 세계 최초 단일 Chip TFT-LCD 개발 (Triple Gate)

1) 제품 특성

삼성전자는 TFT-LCD 구동에 필요한 IC 個數를 기존 4~7개에서 1개로 감소시킨 획기적인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삼성이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는 아몰포스 실리콘 게이트 기술을 적용한 솔루션으로 유리기판 위에 반도체 회로를 구현, 기존 다수의 IC와 동일 기능을 수행토록 한 것이다.

한편 Triple Gate 기술을 적용, 기존에는 수평 배치하였던 RGB(적녹청) 화소를 수직 배열하여 좁은 면적에서도 WVGA/WXGA 급 고화질 화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2) 개발 의의

금번 솔루션 개발로 모바일폰 제조 업체는 추가적인 원가압박 없이 고화질의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화면 크기는 그대로 둔 채, LCD 기판 사이즈를 최소화함으로써, 슬림하면서도 팬시한 디자인의 모바일 기기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삼성전자 개요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디지털 미디어와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부문, 디지털 미디어 부문, LCD 부분, 반도체 부문, 통신 네트워크 부문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인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디지털 TV, 메모리 반도체, OLED, TFT-LCD 분야에서 세계 선두 주자다.

웹사이트: http://www.samsung.com/sec

연락처

삼성전자 홍보팀 기업일반 홍경선 과장 02-727-7856 016-280-043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