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의 제례와 음식7, 8’ 발간
이 책에는 퇴계 이황(설날차례, 유두천신, 묘제, 불천위제), 충재 권벌(불천위제사, 추석차례, 묘제), 서애 류성룡 종가(불천위제사, 묘제)의 전통적인 봉제사에 대한 의식절차와 종가의 음식문화를 살펴볼 수 있도록 제사음식에 대한 조리법과 진설방법 등이 사진자료와 함께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 수록된 사례를 살펴보면, 퇴계 종가에서는 오늘날 찾아보기 어려운 유두천신을 올리고 있었으며, 노종손을 배려해 조상의 혼을 집으로 인향(引嚮)해 와서 묘제를 지냈다. 충재 종가에서는 제수로 ‘동고떡’이라는 부르는 떡을 올리는데, 모양과 고임새가 무척이나 독특하다. 그리고 서애 종가에서는 불천위제사에 서애가 생전에 즐겼다고 전하는 ‘중개(혹은 중박계)’를 올리는 등 오늘을 살아가는 종가의 모습이 그대로 담겨있다.
특히, 전문출판사인 (주)월인으로 하여금 위탁출판을 추진, 국가의 전문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성과물을 일반 국민들이 손쉽게 전통문화 전문서적을 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올해에도 오리 이원익 종가 등 4개 종가의 제례의식과 음식에 관한 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전통문화의 기초자료를 축적할 계획이다.
<참고자료>
종가의 제례와 음식(7~8권)
· 7권 진성이씨 퇴계 이황 종가 :
퇴계학파를 형성하고 일본과 중국에 영향을 끼친 유학의 명가 퇴계 이황 종가
- 이황 종가의 설날차례, 유두천신, 묘제, 불천위제의 절차와 음식
· 8권 안동권씨 충재 권벌 종가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위대한 학자였던 충재 권벌 종가
- 권벌 종가의 불천위제사, 추석차례, 묘제의 절차와 음식
· 8권 풍산류씨 서애 류성룡 종가 :
임진왜란의 국난을 극복한 경세가이자 청렴한 공직자의 위상을 보여준 청백리 서애 류성룡 종가
- 류성룡 종가의 불천위제사, 묘제의 절차와 음식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예능민속연구실 학예연구관 이재필 042-860-9233
문화재청 홍보담당관실 042-481-4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