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 개소

서울--(뉴스와이어)--국립국악원(원장 김철호)에서는 오는 3월 29일 오후 3시 악기연구소 개소식을 갖는다.

전통음악을 바르게 계승 발전시키고 현대적 감각에 맞는 창작음악으로 국악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국립국악원에서 악기개발연구를 위한 악기연구소를 출범한다.

2004년 4월 국립국악원에서는 창작음악을 위한 전문악단을 출범시켰다. 이에 이어, 악기연구소를 개소함으로써 창작음악 연주에 적합한 악기 연구는 물론 과학적 음향분석을 통해 현대 공연장의 음향 특성에 맞는 악기를 개발하여 오늘과 미래의 한국음악을 창출하고자 한다.

또한, 악기연구소에서는 어제와 오늘의 한국음악을 이어가기 위해서 국악기의 원형 연구를 바탕으로 고음악을 재현하고 전통문화사상에 따른 악기의 제도, 문양 등을 복원하여 국악기의 정통화와 고품격화를 추진할 것이다.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는 국가적 차원의 악기연구소라는 점에서 한민족의 자주적인 문화를 꽃피운 세종조의 악기도감, 그리고 조선후기 임진왜란이라는 국난을 극복하고 설치됐던 과거 악기조성청의 역사성을 계승하고 있다.

악기연구소는 이제 보다 다양해진 21세기 음악환경에 맞추어 실질적인 한국 악기연구의 산실로서, 한민족 음악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여 악기산업 발전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국악기표준화 등을 통해 국악기가 국민의 생활속에 자리 잡도록 노력할 것이다.

오는 3월 29일 악기연구소 개소식에는 문화관광부 예술국장, (사)한국국악학회장, 예총 및 민예총 관계자, 국악 연주계, 악기제작 및 연구자들이 참석하여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축하 연주와 더불어 악기연구소의 출범을 축하 격려할 것이다.

당일 참석하는 모든 분들에게 악기연구소 개소기념 자료집,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 세계를 향한 이 시대의 악기조성청」과 소정의 기념품을 무료로 제공한다.

악기연구소 설립배경과 개요

□ 설립배경

ㅇ 국악기의 과학화를 위한 국악기 데이터의 필요성
ㅇ 악기제작 인프라 취약
ㅇ 국립국악원 기존 악기관련 사업을 집중적으로 확대
- 악기개량(1964-1989, 총 42종 악기개량 제작)
- 국악기 기초연구 (1991-2004, 타악기 및 현악기음향연구)
- 우리소리찾기 (1993-1998, 음고측정프로그램 개발 등)
- 고대악기복원 (2005, 신창동 가야금, 월평동 양이두, 이성산성 요고 등)

□ 악기연구소 주요사업

ㅇ 옛 악기연구 : 「악학궤범」의 악기연구 및 복원을 통한 정통성회복
ㅇ 국악기 문양 및 부품연구 개발 : 국악기의 고품격화
ㅇ 국악기 특성 연구 : 국악기의 음향과 재료 연구를 통한 국악기과학화
ㅇ 신악기 개발 : 전통악기를 현대 무대에서 공연할 때의 문제점 개선, 전문가 창작음악연주 및 학교 보급용 신악기 개발
ㅇ 국악기 음원 연구 : 국악과 실용음악의 접목 및 일반인의 국악창작 욕구를 만족시키는 온라인상 작곡 가능 음원개발 및 연구
ㅇ 국악기 표준화 및 인증제 : 국악기 표준화와 인증제를 실시하여 악기품질보장 및 가격 현실화
ㅇ 국악기제작아카데미 운영 : 악기제작전승 및 악기산업 활성화

□ 장기추진계획

ㅇ 2006년 : 국악기산업기반 조사, 국악기특성연구
ㅇ 2007년 : 국악기음원DB화 및 국악기 음향시뮬레이션 개발
ㅇ 2008년 : 국악기 표준화 실시
ㅇ 2009년 : 국악기 인증제 실시
ㅇ 2010년 : 국악기제작아카데미 설립




웹사이트: http://www.ncktpa.go.kr

연락처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서인화 02-580-3074
공연기획홍보팀(팀장 김태균, 박성범,배윤아,김재영,박문희,전규학)
보도자료담당 : 김재영 02-580-339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