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재보호재단, “조선의 일급비밀 동궐도를 통해 조선시대 궁궐을 해부하다”
동궐도읽기는 바로 이러한 조선의 일급비밀이었던 우리궁궐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지도이자 이 시대 사람들이 조선시대의 궁궐을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열쇠이다.
※ 동궐도 (東闕圖)
종목 : 국보 제249호
분류 : 유물 / 일반회화/ 기록화/ 궁궐도
수량 : 2종2점
지정일 : 1989.08.01
소재지 :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박물관, 부산시 서구 동아대학교
시대 : 조선시대
소유자 : 고려대학교,동아대학교
관리자 : 고려대학교,동아대학교
본궁인 경복궁 동쪽에 있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것으로 동궐도(東闕圖)라는 제목이 붙어있는 2점의 궁궐그림이다. 크기는 가로 576㎝, 세로 273㎝로 16첩 병풍으로 꾸며져 있다.
오른쪽 위에서 비껴 내려 보는 시각으로 산과 언덕에 둘러싸인 두 궁의 전각과 다리, 담장은 물론 연꽃과 괴석 등 조경까지 실제와 같은 모습으로 선명하고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배경이 되는 산과 언덕에 대한 묘사는 중국 남종화의 준법을 따르고 있으나, 건물의 표현과 원근 처리에 있어서는 서양화 기법의 영향을 받은 듯하다.
또 다른 그림도 똑같은 형식과 기법, 크기를 하고 있으나 채색을 하고 검은 글씨로 건물의 명칭을 써 넣은 점이 다르다. 그림에 들어있는 건물들의 소실여부와 재건된 연대 등으로 짐작하여 순조 30년(1830) 이전에 도화서 화원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 두 점의 그림은 회화적 가치보다는 궁궐 건물 연구에 더 큰 의미를 갖고 있다.평면도인 궁궐지나 동궐도형보다 건물 배치나 전경을 시각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어 고증적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보물 제596호 궁궐도(동아대학교 소장)가 형식·기법·크기 등이 동일한 것으로 판명되어, 1995년 6월 23일 보물 제596호를 지정해제하고 국보 제249호 동궐도로 승격지정한다,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개요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은 문화재청 산하 전통문화 전승 보급을 담당하는 특수법인입니다.
웹사이트: http://www.fpcp.or.kr
연락처
홍보정보화팀 김 민 정 02-566-4298 이메일 보내기 F A X02-566-6314문화행사팀 이재혁 02)566-02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