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魔)의 첫 주말, ‘공중 산불대책본부’ 실시간 운영
이런 가운데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이 예상되는 3월25일 마(魔)의 첫 주말을 앞두고 산림청이 산불경계 비상령에 들어갔다. 산림청은 25~26일 주말에 서승진 산림청장 및 차장, 국장급 간부들이 산불진화 헬기에 직접 탑승하여 전국 산림을 구역별로 나누어 계도비행하면서 실시간으로 산불을 감시하는『공중 산불대책본부』를 운영한다.
또한 산림청은 대형산불이 가장 우려되는 강원, 동해안 지역의 강릉, 속초, 삼척에 산림청 산불진화용 초대형헬기 2대를 포함, 총 11대의 헬기를 전진배치하고 산불감시인력도 3,260여명으로 확대 배치하였다. 그밖에 전국의 주요 산불취약지역에도 산림청 및 지자체 산림공무원을 총동원, 14,600여명의 산불감시인력과 22대의 산림청 헬기를 전진배치함으로써 마(魔)의 첫 주말에 산불과의 한판 전쟁을 불사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5.31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있는 해로 과거 선거가 있는 해에 지자체의 산불관리가 느슨해지면서 대형산불 발생이 빈번했던 전례로 볼 때 올해 봄철은 그 어느때 보다도 대형산불 발생의 위험이 우려되고 있다.
한편 산림청은 3.25~4.10일까지 17일간을『봄철 산불방지 총력대응 기간』으로 정하고 산불방지 전담 태스크포스팀 운영, 산불취약지 현장대책본부 설치 등을 내용으로 하는「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장」의 특별대책을 일선 지자체에 시달함과 동시에 각 시ㆍ도별 지역실정에 맞는 자체계획을 수립하는 등 봄철 산불예방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산림청 분석에 따르면 최근 5년간 4월 청명ㆍ한식일을 전후한 시기에 연평균 52건(면적 389ha)의 산불이 발생, 전체 산불발생의 27%(면적 대비 28%)를 차지함으로써 연중 산불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주말을 앞두고 산림청은 국민들에게,
o 산행 전에는 입산통제 및 등산로 폐쇄 구역을 확인하여 산행을 금함.
o 입산시는 라이터, 버너 등 인화성 물질을 소지하지 않음.
o 산에서의 화기사용은 가능한 금하고 필요시에는 허용된 지역에서만 실시.
o 특히, 본격적인 농사철을 앞두고 현재 농산촌에서는 병해충 방지를 위한 논두렁ㆍ밭두렁, 폐비닐 소각작업이 한창인데, 5월15일까지는 산림 연접지 100m내에서는 소각행위가 전면 금지하고, 그 밖의 소각 작업시에도 해당관서에 사전 허가를 받아 불씨가 산림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예방조치 후 실시.
산림관서와 소방관서의 협조하에 마을단위별로 일시에 공동 소각작업을 권장하고 있으니 이를 적극 활용할 것 등을 특별히 당부하고 있다.
산림청 개요
1967년에 설립된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의 외청이다. 산림의 보호 육성, 산림자원의 증식, 우량종묘 개발 및 보급, 산림사고 및 병충해 방지, 야생조수의 보호, 목재 수급의 조정, 해외산림자원 개발 및 임산물 수출입 등의 업무를 관할한다. 조직은 청장, 차장과 임업정책국, 국유림관리국, 사유림지원국, 기획관리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임업연구원, 국립수목원, 산림항공관리소와 5개 지방산림관리청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forest.go.kr
연락처
산불방지과 정희규 계장 042-481-4255
산림청 정책홍보팀 042-481-4071~4 F.042-472-3225,0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