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농업기술원, ‘참외 흰가루병’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대구--(뉴스와이어)--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장장 최충돈)에서는 참외재배시 잎에 밀가루를 뿌려놓은 것 같이 하얗게 덮어쓰는 흰가루병에 대해 보다 친환경적인 방제법을 개발하여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참외 흰가루병은 육묘기(12~1월) 및 정식포장(4월)에서 발생하여 작기가 끝나는 9~10월까지 심각한 피해를 준다. 흰가루병이 심하게 감염되면 수량이 40% 정도 감소하여서, 시설참외 재배지에서는 흰가루병의 적절한 방제없이 상품수량의 증대를 기대할 수 없다.

성주과채류시험장 연구팀에서는 국내 최초로 참외 흰가루병 월동태가 참외식물체 잔사에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여, 일부 농가에서 관행적으로 참외 잔사를 포장에 재투입하는 것은 흰가루병균 밀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하였다.

성주과채류시험장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참외 생육 및 환경조건에 따라서 석회보르도액 2-2식 및 4-4식을 15~20배 희석하여 살포하거나, 흰가루병 발생초기부터 작물생육 상황에 따라서 유황을 하루에 1~2시간 정도 조절하면서 훈증하면 흰가루병을 적절하게 방제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인산암모늄, 황산칼륨 및 계면활성제 등을 희석하여 살포하거나, 하절기에 하우스 내부기온이 상승하여 45℃ 이상이 되었을 때는 흰가루병균이 자랄수 있는 온도 이상이 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이 억제되는데, 이때 약제를 적절하게 살포하면 80% 이상 방제가 가능하여서 농약살포 횟수 및 사용량을 절감하는 효과적인 방제법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참외 흰가루병 방제시에는, 불량환경에서의 약해 발생, 살포농도 준수 및 충분한 약량살포 등 몇 가지를 유의하면 흰가루병을 적절하게 방제할 수 있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gba.go.kr

연락처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 최충돈 054-931-6789
경상북도청 공보실 도병우 053-950-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