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지난해 교통기초조사 결과 및 향후 교통정책방향
대구시가 대구경북개발연구원에 의뢰해 지난해 10월 11일부터 10월 25일까지 시경계, 교량, 간선도로, 버스전용차로, 교차로의 총78개 지점에 대해 실시한 「2005년도 교통량조사」결과 간선도로의 경우 통행량이 가장 많은 도로는 도시고속도로인 신천대로(109,348대/16시간)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동서간 주간선도로인 달구벌대로(76,332대/16시간), 앞산순환로(72,402대/16시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차로의 경우는 범어네거리(72,868대/6시간)가 교통량이 가장 많은 교차로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두류네거리(56,178대/6시간)와 죽전네거리(53,536/6시간)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교차로 교통량을 비교(표1-2)해 보면 주요교차로의 전체 교통량은 전년 대비 2.13% 증가하였다. 반월당네거리(전년대비 7.79% 증가)와 범어네거리(전년대비 12.33% 증가)는 지하철 2호선 개통으로 일부 자가용 이용수요가 지하철로 전환되어 교통지체가 줄고 통행여건이 개선됨으로써 교통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대구시 차량속도조사 결과 승용차의 1일 평균 통행속도는 도심부가 24.9km/h로 전년 대비 3.2% 감소하였고, 외곽부는 30.1km/h로 전년 대비 0.7% 감소하였다.
그러나 승용차의 첨두(尖頭, peak)시 평균 통행속도는 도심부가 21.8km/h로 전년 대비 7.8% 감소하였고, 외곽부는 26.9km/h로 전년 대비 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의 평균통행속도는 1일 평균 전년대비 0.1km/h 증가한 20.1km/h(첨두시는 18.9km/h)로 크게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버스 이용승객의 승·하차, 버스 운행시간, 신호운영, 교차로에서의 대기시간 등 버스운행 환경의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심부 가로별 통행속도는 신천대로(52.5km/h), 신천동로(43.6km/h), 무열로·황금로(29.8km/h, 효목네거리~황금아파트네거리)가 높고, 중앙대로(16.9km/h), 봉덕로(17.0km/h), 중동로(19.0km/h)의 통행속도가 낮은 반면, 상대적으로 달구벌대로의 통행속도가 전년 대비 20.8km/h에서 23.4km/h로 12.5% 증가되었다.
통행속도가 가장 낮은 중앙대로는 대구의 도심인 대구역~반월당네거리를 지나면서 택시 및 승용차의 불법 주·정차와 짧은 유출·입로 간격의 영향이 크고, 봉덕로와 중동로 또한 구간 길이(각각 1.21km, 2.97km)가 짧고 주택가 이면가로의 불법 주·정차 차량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버스전용차로 설치구간에서 평균통행속도는 버스 19.8km/h, 승용차 21.0km/h로 승용차의 속도가 버스보다 높고, 버스의 전용차로 구간보다 전구간의 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용차로 설치구간에서도 버스와 승용차 모두 교차로에서 신호 대기시간 길이가 동일하고, 버스의 경우 도심내 정류장간 간격이 짧아 승객의 승·하차시간 시간이 크게 소요됨으로써 승용차의 속도가 버스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해마다 지속적인 차량통행속도 감소와 교통 혼잡은 승용차 보유대수의 급증에 비해 도로 및 교통시설 공급이 크게 부족한 것이 주원인으로 분석된다.
최근 5년간(’01~’05년)간 승용차 등록대수는 ’01년 516,217대에서 ’05년 626,761대로 21.4% 증가한 반면, 도로율은 ’01년 22.92%에서 ’05년 23.21%로 1.26% 포인트 증가하여 시민들의 승용차 보유대수의 급증에 비해 도로 및 교통시설 공급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대구시는 지난 2월 19일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이후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해 버스 노선 및 요금체계 개편 안정화, 버스전용차로의 불법 주·정차 단속 강화, 버스도착 안내시스템 서비스 제공 등 버스이용 서비스 다양화, 저상버스 도입확대를 통해 계속적으로 대중교통 개선을 위해 노력 할 계획이다.
또한, 교통수요관리를 위해 3월 29일 시 본청 공무원을 시작으로 사이버카풀제 도입 등 카풀 활성화를 통한 승용차 이용억제 프로그램을 점차 확대 보급하고, 4월에는 CCTV가 장착된 차량을 가동해 도심 불법주차단속을 강화한다.
아울러 오는 6월에는 교통유발부담금 경감프로그램에 대한 기업체 설문조사를 실시, 제도개선 사항을 발굴하는 등 기업체 교통수요관리 정책을 병행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하드웨어 인프라는 도시 외곽중심의 산업지원형 광역 간선도로망 및 지하철 역세권 주차장, 환승시설과 같은 교통기반시설을 계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대구광역시청 개요
대구광역시청은 26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권영진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다. 권영진 시장은 시민행복과 창조대구를 이루기 위해 대구광역시를 창조경제의 선도도시, 문화융성도시, 안전복지도시, 녹색환경도시, 소통협치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daegu.go.kr
연락처
대구광역시청 교통정책과 과장 신경섭 053-803-4753
대구광역시 공보관실 진수일 053-803-2213 F.053-803-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