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오염퇴적물 관리 워크숍 개최
이번 워크숍은 해양부가 오는 2006년까지 추진하는 해양오염퇴적물 조사, 정화·복원체계 구축 연구용역 사업의 하나로서 해양오염퇴적물의 정화 및 복원 관련 기술의 국내외 역량과 제도, 외국사례들을 검토해 국가적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마련됐다.
워크숍에선 오염해역의 정화 및 복원 사업의 효율성과 환경친화성을 개선하기 위한 심도 깊은 논의가 있을 예정이며 법·제도적인 측면은 물론 오염퇴적물의 재활용과 처리 분야 등 관련 과학기술에 대해서도 다양한 검토가 이뤄질 전망이다.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의 영향으로 오염물질의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해양환경의 개선이 요구되는 일부 연안해역에 대해 1988년부터 마산만 준설을 시작으로 오염해역의 정화·복원을 위한 준설사업을 실시, 오염해역의 악취감소와 수질 개선을 통해 해양생태계 회복과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개선을 도모해왔다.
해양부는 오염해역준설사업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과학적 분석을 통한 오염해역의 기준, 오염퇴적물 제거범위, 사후관리방안 등 종합적인 해양오염퇴적물조사 및 정화·복원체계 구축을 위해 올해부터 우리나라 전 연안을 대상으로 해저퇴적물의 오염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오는 2006년 해양오염퇴적물 관련 사업이 완료되면 해양퇴적물에 대한 오염 테이터 베이스 확보, 정화범위의 과학적 기준설정에 따른 준설사업비용 절감, 오염원인 및 종류·양에 대한 과학적 정보파악을 통한 효과적 오염제어, 퇴적물 오염기준 설정 등이 이뤄져 해양오염퇴적물의 제거 및 사후관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해양부는 밝혔다.
해양수산부 개요
해양수산부는 대한민국 해양의 개발·이용·보존 정책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국민에게 힘이 되는 바다, 경제에 기여하는 해양수산을 목표로 설립됐다. 해양수산 발전을 통한 민생 안정, 역동 경제, 균형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f.go.kr
연락처
해양정책국 해양보전과 과장 유정석 02-3148-6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