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 소득증대를 위한 다기능어항 본격 개발

서울--(뉴스와이어)--해양수산부는 2004. 10. 25일 다기능어항 개발 최종후보지로 동해지역은 부산 기장군 기장읍 대변항, 남해지역은 경남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항과 전남 여수시 국동항, 서해지역은 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항과 충남 서천군 서면 홍원항 등 5개소를 선정, 발표하였다

이번 다기능어항 선정은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하여 도서지역을 제외한 국가어항을 대상으로 후보지 10개항을 선정한후 학계,전문연구원,어항전문가 ,관광전문가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의 현장실사와 수산업여건,사회경제적여건,관광여건,개발잠재력등 39개항목으로 평가하여 최종 결정하였으며 특히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1도 1개항 선정을 원칙으로 하였다

이번에 선정된 5개항에 대하여는 ‘06년까지 기본설계, 환경영향평가, 실시설계등을 거쳐 ’07년부터 본격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개발방향은 해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동해지역은 관광,명승지,해수욕장과 연계한 관광특화 체류형으로, 서해지역은 수도권과 접근성을 고려한 휴식,문화,어촌체험공간형으로, 남해지역은 양식 및 해상관광형, 위주로 개발하며 기본계획수립시 자치단체와 협의하여 어업인소득 증대와 연계될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다기능어항으로 좋은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으나 최종후보지로 선정되지못한 나머지 5개어항에 대하여도 앞으로 시설계획수립시 다기능어항으로 정비하여 병행 또는 후순위로 개발할 계획이다

어촌관광진흥종합대책

○ 어촌·어항복합공간(Ⅰ모델)
- 배후어촌과 연계되는 국가어항을 대상으로 어촌과 어항의 특색을 연계하여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것으로, 향후7개소 개발 추진
※ 총사업비 1,079억원 : 개소당 사업비 150억원, 기본·실시설계비 29억원
- ’04년말까지 7개소 선정하고 이중 1개소에 대해 기본설계 추진(2억원)
- 주요 시설
·어항 : 수산시장, Sea food 센타, Fisherina, 녹지공원(소규모 공연장 포함), 어업인복지회관, 주차장 등
·어촌 : 어촌마을 정비, 어촌민속관, 민박시설, 생태체험장(갯벌, 어업, 조류 등), 낚시터(잔교), 해수욕장, 경관전망대 등

○ 다기능어항(Ⅱ모델)
- 배후어촌이 없어 어항과 어촌의 연계성은 낮으나, 어항자체만으로 관광잠재력이 큰 국가어항을 대상으로 집중 개발하는 것으로 향후 6개소 개발 추진
※ 총사업비 2,957억원 : 개소당 사업비 500억원, 기본·실시설계비 85억원
- ’04년말까지 6개소(강원도 대포항 포함) 선정하고 이중 1개소에 대해 기본설계 추진(5억원)
- 주요 시설
·수산시장, Sea food 센타, Fisherina, 클럽하우스, Cruise 터미널, 숙박시설, 해양연수시설, 어업인복지회관, 수산관련단지, 낚시시설, 해수욕장, 공원, 해안산책로, 주차장 등

○ 어촌관광단지(Ⅲ모델)
- 어항과 연계 없이 어촌 자체만으로 관광잠재력(뛰어난 자연경관, 갯벌중심의 어촌관광테마 특화 등)이 높은 지역을 집중 개발하는 것으로 향후 11개소 개발 추진
※ 총사업비 696억원 : 개소당 사업비 60억원, 기본·실시설계비 36억원
- ’04년말까지 11개소 선정하고 이중 1개소에 대해 기본설계 추진(1억원)
- 주요 시설
·어촌마을 정비, 관광안내센타, 민박시설, 청소년야영장, 생태체험장(갯벌, 어업, 조류, 등), 낚시터(잔교), 해수욕장, 경관전망대, 담수생태공원, 휴양림, 해안산책로, 해안자전거도로, 주차장 등

해양수산부 개요
해양수산부는 대한민국 해양의 개발·이용·보존 정책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국민에게 힘이 되는 바다, 경제에 기여하는 해양수산을 목표로 설립됐다. 해양수산 발전을 통한 민생 안정, 역동 경제, 균형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f.go.kr

연락처

수산정책국 어촌어항과 사무관 최재학 02-3148-685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