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국내최초 ‘하수슬러지 메탄가스’ 이용 전력생산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에서는 탄천물재생센터(탄천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소화가스(메탄)를 사용하는 연료전지(250KW급)를 국내 하수처리시설에서는 최초로 설치하여 시 운전과 성능테스트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전력과 온수를 생산하게 되었다고 30일 밝혔다.

지금까지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소화가스는 슬러지 소화조의 적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일러 연료 등으로 사용 되어왔으나, 이번에 연료전지 설치로 연속적인 전력과 온수도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 슬러지 소화조는 하수처리과정 중 발생되는 슬러지(찌꺼기)를 분해하여 감량화 시키는 저장시설로서, 슬러지를 분해시키는 과정에서 메탄가스가 발생 된다.

연료전지는 소화가스에 포함된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와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로, 연소과정이 없어 타 발전설비(가스터빈 등) 보다 고효율(약 47%)이고, 공해물질 배출과 소음이 아주적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연료전지는 산업자원부에서도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 개발과 장래 예상되는 국제환경규제 강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기술개발을 목적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 에너지의 발전설비이다.

탄천물재생센터의 연료전지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약 30억원)은 산업자원부와 (주)POSCO가 각각 50%씩 부담하였고, 서울시는 소화가스(2,400㎥/일)와 설치부지(306㎡)를 제공하였다.

탄천물재생센터에서는 생산된 전력(일 5,160Kwh)과 온수(60~70℃, 일 96㎥)를 하수처리시설에 무상으로 이용함으로써, 연간 1억 9천만원(전력 180만Kwh, 온수 33천㎥)의 에너지절감 효과가 있으며, 국내 하수처리시설에 최초로 설치가 성공된 사례로써 타 하수처리시설에도 확대·적용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사업개요
사 업 명 : 탄천물재생센터 발전용 연료전지(DFC300) 설치
설치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580번지 소재 탄천물재생센터 내 (연락처 : 02-3410-9806)
설치업체 : 주식회사 POSCO(신사업개발실)
설치비용 : 약 30억원(산원자원부와 주식회사 POSCO가 50%씩 부담)

연료전지 현황
용 융탄산염형-정격전력(KW):250, 정격전압(V):380
주파수(Hz):60, 발전효율(%):47, 크 기(m):W3.3× D8.2× H3
중 량:43톤, 비 고:옥내,외 설치가능,설치 후 무인운전
설치기간
2005. 6월 ~ 12월 : 연료전지 및 부대시설 설치
2006. 1월 ~ 3월 : 성능시험 및 시운전 완료
2006. 4월부터 정상운전(무인)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시 건설기획국 하수계획과 이연배 02-3707-993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