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디지털 3차원 실물복제기 기술 개발

서울--(뉴스와이어)--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디지털 3차원 실물복제기의 핵심기술”이 개발되었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박화영) 첨단산업기술연구부 김동수 박사팀은 산업자원부와 기업의 지원을 받아 약 2년여의 연구 끝에 산업용 및 오피스용 디지털 3차원 실물복제기의 핵심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디지털 3차원 실물복제기(RODS; Real Object Duplication System)는 3차원 스캐닝 기술, 임의형상제작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 등의 복합기능이 내장된 장치로서, 임의형상의 물체를 3차원 스캐너로 스캐닝 하여 바로 또는 인터넷을 통해 원거리로 전송한 후, 임의형상제작시스템(SFFS; Solid Freeform Fabrication System)을 이용해 수 시간 이내에 동일한 제품을 복재해 내는 장비를 말한다.

이번에 개발된 임의형상제작시스템은 듀얼 레이저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존 제품보다 고속, 대형 물체 제작이 가능하며, 제품의 정밀도를 높이고 제품 제작시간도 1/3이상으로 단축시켰다.

디지털 실물복제기는 자동차 산업, 항공산업, 금형제작 등의 산업 부문 뿐만 아니라 소형부품, 의료산업, 스포츠용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기기이다.

특히, 최근들어 영화, 게임, 교육용 자료 및 광고 등이 대부분 디지털 컨텐츠의 대상이 되어 실세계에서 그대로 복제된 듯한 캐릭터와 배경을 연출하는데 있어서 3차원 실물복제 기술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디지털 3차원 실물복제기의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약 1조원이며, 매년 평균 성장률이 22%대를 넘어서고 있지만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들이 기술을 독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디지털 3차원 실물복제기의 국내 첫 개발로 연간 약 200억원 대의 수입대체 효과를 낳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첨단기술개발을 2년여의 짧은 기간동안에 마무리 할 수 있었던 것은 “각 분야별 최고의 전문가로 구성된 산(솔루션닉스, 성광정기, 휴모봇, 티오켐), 학(KAIST, 부산대, 제주대, 동경대),연(한국기계연구원)의 연구팀이 하나가 되어 기술 개발에 혼신을 다한 결과이며, 또한 산업자원부의 중·장기적인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한 지원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연구책임자인 김동수 박사는 밝혔다.

현재 이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외 학술지에 약 3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한국, 미국, 일본 등에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3차원 실물복제기의 핵심 기술 중 3차원 스캐닝 기술은 이미 일부 모델을 상품화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3차원 디지털 실물복제기는 상품화를 위한 준비를 추진 중에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개요
한국기계연구원은 지난 1976년 발족한 이래 기계와 재료관련 연구개발, 시험평가 및 기술지원을 종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국가 과학기술은 물론 관련 산업계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 왔으며,

현재 대덕연구단지 내에 기계분야로 특화된 본원과 창원에 재료분야로 특화된 재료기술연구소로 구성, 운영되고 있는 정부출연연구기관입니다.

웹사이트: http://www.kimm.re.kr

연락처

홍보협력과 송재윤 042-868-786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