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하우스 보는 법

서울--(뉴스와이어)--본격적인 분양시즌이 돌아옴에 따라 모델하우스에는 내집을 마련하려는 수요자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모델하우스는 아파트 정보를 일반인이 가장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반면 화려한 조명과 각종 옵션으로 소비자들을 현혹하려는 업체들의 상술이 숨겨져 있다. 따라서 자신만의 뚜렷한 평가 기준을 갖고 해당 상품의 장단점을 올바르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1. 실내구조보다 먼저 단지배치 모형도를 관찰하자

마음에 둔 평형의 내부를 보기 전에 먼저 ‘주변현황도’와 ‘단지배치도’를 확인해야 한다. 단지배치 모형도를 잘 살펴보면 안내책자 보다 구체적인 아파트의 입지여건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건물의 형태, 향, 조망여부, 동간거리, 경사도, 각종 출입문의 위치 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또한 단지 내 주차공간이 넉넉한지, 녹지공간은 풍부한지, 상가, 노인정, 유치원 등 복리 및 편의시설이 만족스러운 수준인지도 잘 파악해야 한다. 그 후 분양 받고자 하는 평형의 총 가구수, 동, 층, 난방방식, 계단방식 등을 살펴본다.

주변 현황도를 통해서 자연환경, 도로현황, 지하철 연계방법, 소음 등을 짐작할 수 있다. 아파트 주변에 혐오시설 및 유해시설 등은 있지 않은지, 학교나 공공시설, 상업시설 등과의 거리는 어떤지를 파악해야 한다. 더불어 향후 해당지역 발전 가능성과 개발계획도 등도 다시 한 번 점검해 두는 것도 좋다. 의문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모델하우스 내 건설사 직원이나 인근 중개업소 등에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 우리 가족에게 맞는 집인지 평면도를 살핀다

견본주택에 들어서기 앞서 또 한가지 살펴봐야 하는 것이 현관 입구에 설치해 놓은 평면도다. 내부로 들어가면 전체의 구조를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의 가족구성을 생각해 보고, 각 실별로 표시된 실제 치수를 감안해, 각 방의 배치와 연관관계를 잘 따져봐야 한다. 각 실의 사용용도, 발코니, 외부 창고 등 서비스 공간의 활용 등을 어림해 보고, 주방과 화장실의 배치, 가족 구성원간의 프라이버시 문제 등을 대략적으로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

3. 줄자를 준비하라

모델하우스는 화려한 마감재를 사용하고 고급스런 조명과 식탁, 대형 벽걸이TV 등 소품들은 모두 가상 공간에 불과하다. 이에 현혹되지 말고 실제 집안 구조를 줄자로 하나하나 꼼꼼히 점검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당수의 샘플하우스는 실내를 넓어 보이도록 거실과 방 발코니 확장공사를 해뒀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보통의 모델하우스는 각 실마다 바닥에 ‘○○자×○○자’라고 방의 크기를 표시한다. 많은 이들에게 '자'라는 단위가 익숙하지 않아 그 크기를 어림하기 힘들뿐더러 쓰여진 숫자가 실제 면적과 다른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방의 면적을 표시할 때 실제 내부 면적이 아니라 벽체간의 중심인 치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목지수를 적용하지 않은 아파트는 숫자에 비해 실제면적이 작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특히 아파트 동의 양쪽 끝 부분에 위치한 집은 단열재 마감 때문에 실내 면적이 다소 좁아질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또한 문과 창문의 크기와 구조를 확인 하는 것이 좋다. 각 방문이 교자상을 접지 않고 그대로 들여올 수 있는 크기인지, 다용도실이나 후면 발코니 문을 통해 세탁기 등 큰 짐이 통과할 수 있는지, 문을 활짝 열었을 때 문이 무엇에 걸리지는 않은지 등을 확인한다.

침실 바닥의 창문 높이나 폭이 적당한지, 창문을 여닫는 손잡이 구조가 어떠한지, 문짝 개폐를 위한 하단 레일이 어떤 형식으로 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외부 창틀에 커튼을 달 경우설치 돼 있는 커튼박스 폭이 적당한지도 확인하는 것이 좋다.

4. 인터폰 난방 등 기본항목을 꼼꼼히 체크하자

소소하고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아 간과하기 쉽지만 실생활에 꼭 필요한 항목들도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 인터폰, 전기단자함, 전기·수도·난방·가스검침기, 각 방의 전원스위치 및 콘센트 등의 위치나 높이를 파악해 실생활에 불편함이 없는지 체크해야 한다. 또한 에어컨전용콘센트와 물빼기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지, 온도 조절기가 방마다 설치돼 있는지도 확인한다.

특히 주방의 경우는 주부가 하루를 보내는 생활공간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꼼꼼히 살펴야 한다. 싱크대의 높이는 적당한가, 수납공간의 깊이가 적당한가, 싱크대의 재질은 무엇인지, 식탁 놓을 공간은 충분한가, 하단 걸레받이의 탈착이 가능한지, 주방 동선은 효율적인가 등을 살핀다. 또한 전열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가 주방 벽에 설치되어 있는지, 냉장고가 들어갈 공간의 폭은 적당한지 확인한다. 냉장고를 설치했을 때 문짝을 열고 닫는데 불편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화장실은 환풍기만 달려있는 것보다는 외부로 창문이 나있는 것이 좋고, 바닥 타일이 미끄럽지 않은지 살피는 것이 좋다. 또한 화장실, 발코니 등은 바닥면이 높거나 경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배수가 잘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점들도 관심 있게 살펴봐야 한다.

또 거실바닥 마감재는 무엇으로 시공되며, 현관바닥이나 벽지의 재질이나 벽지 색깔은 어지럽지 않은지 등을 확인한다. 현관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신발장은 신발뿐 아니라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그 실용성과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신발장 내부 깊이가 너무 짧아 큰 신발을 넣을 때 불편하지 않을지, 선단 단수는 적절한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선반을 받쳐주는 받침고리의 간격, 일반 수납공간의 확보, 우산걸이의 유무 등을 잘 확인하고, 하단부에 서랍이 있을 경우 서랍을 열어 그 깊이도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주의할 점은 분양가에 포함되지 않는 ‘전시품’ 또는 ‘옵션품목’을 분양가에 포함된 ‘빌트인제품’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5. 현장 답사는 반드시 해라

모델하우스를 방문했다고 끝이 아니다. 반드시 아파트가 건립되는 현장을 직접 방문해 주변 상황을 확인해 봐야 한다. 현장이 모델하우스와 멀리 떨어져 있다면 교통사정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장답사를 반드시 하는 것이 좋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기업마케팅팀 김혜진 02-2185-739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