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체감경기 호전전망 지속 유지...전경련, 최근 종합경기 조사

서울--(뉴스와이어)--2006년 4월 기업체감경기 전월 대비 호전 전망(112.7)

ㅇ 4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는 112.7로 기준치 100을 상당 폭 상회, 기업들은 4월 체감경기가 전월보다 나아질 것으로 전망

· 작년 9월 이후 8개월 연속 지수 100 이상을 기록, 기업들이 체감하는 현장경기는 꾸준히 나아지고 있음을 나타냄

· 산업별로는 제조업(112.0)의 경우 중화학공업(113.5)이 경공업(107.6) 보다 경기호전을 응답하는 비중이 높았고, 비제조업(113.8) 역시 전월 대비 경기호전을 전망

· 부문별로는 내수(117.2), 수출(106.7), 투자(107.1), 자금사정(106.7), 고용(102.6), 채산성(108.3) 등 全부문에서 지수 100 이상을 기록, 전월대비 호전을 전망

ㅇ 3월 실적 BSI는 111.5를 기록, 전월대비 경기호전을 응답했으며 계절조정 전망치는 104.1로 전월 대비 호전을, 계절조정 실적치는 98.9로 전월 대비 소폭 부진을 응답

· 2월에 비해 늘어난 조업일수와 아울러 경기호전에 대한 전반적인 기대감 등으로 전월에 비해 체감경기가 호전됨을 응답한 기업이 많음

ㅇ 부문별 지수를 고려한 합성지수도 104.7을 기록, 원지수와 같이 전월대비 경기의 호전을 전망했으며, 매출규모가 큰 기업 중심의 가중지수는 118.7로 원지수와 동일하게 전월보다 나은 경기를 전망

□ 원화강세 및 고유가 지속 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 우려에도 불구, 경기호전 기대 증가, 계절적 요인 등에 힘입어 전체지수는 100을 상회하여 경기 호전전망 지속

ㅇ 전반적인 소비심리 개선과 경기회복에의 기대감 증가, 봄철 도래에 따른 일부 업종의 계절적 성수기 도래 등으로 기업이 느끼는 체감경기의 호전상황은 지속되고 있음

ㅇ 작년 9월 이후 8개월 연속 지수 100 이상을 기록, 기업들의 체감경기 전망이 지속적으로 나아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실적 BSI 역시 3개월 만에 100을 상회, 실제 경기도 다소간 나아짐을 반증

ㅇ 원화강세에 따른 수출기업의 수익성 악화, 고유가의 지속에 따른 원가 증가, 인도 및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에 따른 경쟁격화, 최근 일부 업종의 노사불안 등 본격적인 경기회복에 장애가 되는 요인은 여전히 상존

□ 시장경제 원칙에 입각한 일관된 경제정책의 시행과 함께 에너지 안정 수급대책의 지속, 환율 급변동 완화, 원칙에 입각한 노사관계 정립 등 대내외적 경제 불안요인의 효과적 관리가 중요

ㅇ 수도권 규제, 산업단지 관련 규제 중 투자 확대에 장애가 되는 규제는 과감히 폐지 또는 완화하여 투자활성화를 위한 기반 조성

ㅇ 서비스업에 대한 과감한 개방과 규제완화 및 세제지원의 정책기조를 지속적으로 시행, 서비스업 활성화의 기반 마련

ㅇ 원화절상과 관련하여 단기적으로는 환율 급변동을 완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외환시장 규모의 확대와 파생상품 다양화 등 換리스크 관리 기반 강화를 위해 노력

ㅇ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등 글로벌 기준에 맞도록 노사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정비하고, 산업현장에 법치주의가 확립될 수 있도록 법과 원칙에 입각한 노동행정을 지속적으로 시행

□ 업종별 동향

ㅇ 경공업(107.6)은 음식료(103.2), 의복 및 가죽, 신발(144.4)는 전월 대비 호전을, 섬유(76.9)는 부진을, 고무 및 플라스틱(100.0), 나무 및 목재(100.0)는 전월과 유사한 경기를 전망

- 소비심리 개선 및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 증가와 계절적 요인 등으로 많은 업종이 전월대비 경기호전을 전망했으나, 원화 강세의 지속과 고유가 및 중국 등 경쟁국 추격에 따른 경쟁격화 같은 경기부진 요인은 상존

ㅇ 중화학공업(113.5)은 제약 및 화학제품(108.7), 정유(120.0), 비금속광물(138.5), 철강 외 1차(114.3), 조립금속 및 기계(134.6), 자동차 및 트레일러(107.3), 선박 등 제조업(128.6) 등 대부분 업종이 전월대비 호전을 전망했으나 펄프 및 종이(94.4) 등 일부 업종은 전월보다 경기부진 전망

- 환율하락과 고유가 등의 대외 악재 속에서도 계절요인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증가 등으로 대부분 업종이 전월대비 경기호전을 전망했으며, 특히 선박 등 제조업, 비금속광물, 조립금속 및 기계 등은 전월대비 상당 폭 호전 전망

ㅇ 정보통신산업은 통신 및 정보처리(111.1),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105.6), 반도체, 컴퓨터 및 전기(122.2) 등 전업종이 전월대비 경기호전을 전망

ㅇ 비제조업(113.8)은 도매 및 상품중개업(112.8), 소매업(129.2), 건설(103.8), 운수(105.3)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호전을 전망

- 도매 및 상품중개업, 소매업 등 유통관련 업종은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증가로 호전을, 건설 등 업종은 계절적 비수기를 다소간 벗어남에 따라 호전을 전망

□ 부문별 동향

ㅇ 내수(117.2)는 전력 및 가스(90.9)와 펄프 및 종이(88.9)를 제외한 전업종이 전월대비 호전을 전망했으며, 의복 및 가죽, 신발(150.0), 비금속광물(146.2), 조립금속 및 기계(138.5), 반도체, 컴퓨터 및 전기(127.8) 등의 호전전망이 두드러짐

ㅇ 수출(106.7)은 철강외1차(128.6), 조립금속 및 기계(134.6), 선박, 철도, 항공기 관련 제조업(157.1) 등 대부분 업종이 전월대비 호전을 전망한 가운데, 고무 및 플라스틱(88.9), 나무 및 목재(75.0), 펄프 및 종이(88.9) 등 일부 업종은 전월대비 부진 전망

ㅇ 투자(107.1)는 철강외1차(142.9), 조립금속 및 기계(123.1), 선박 등 제조업(128.6), 소매업(116.7)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이 전월대비 호전을 전망했으나, 전력 및 가스(90.9) 등은 전월대비 부진 전망

ㅇ 자금사정(106.7)은 의복 및 가죽, 신발(133.3), 선박 등 제조업(142.9), 전력 및 가스(127.3) 등 대부분 업종이 전월대비 호전을 전망한 가운데, 나무 및 목재(87.5), 섬유(92.3) 등은 전월대비 부진전망

ㅇ 재고(103.8)는 섬유(130.8), 일차금속(116.7), 철강(121.7) 등의 증가전망으로 전월대비 소폭 증가를 전망했으나 경기호전 기대에 힘입어 정도가 작았으며, 정유(80.0), 소매업(91.7) 등은 재고감소 전망

ㅇ 고용(102.6)은 철강(113.0), 도매 및 상품중개업(106.4) 등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소폭 호전을 전망한 가운데 의복 및 가죽, 신발(88.9), 음식료(96.8) 등은 전월대비 고용 부진을 전망

ㅇ 채산성(108.3)은 원화강세 등에도 불구하고 의복 및 가죽, 신발(138.9), 조립금속 및 기계(134.6) 등을 중심으로 호전을 전망했으나, 펄프 및 종이(83.3) 등 일부 업종은 채산성 악화 전망

<조사개요>
조 사 기 간 : 2006. 3. 22(수) ~ 3. 28(화)
조사대상업체 : 업종별 매출액순 600대 업체(573개 사 응답)
조 사 방 법 : 기획관련 담당자의 자기기술과 조사원의 질의기술 병행

전국경제인연합회 개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61년 민간경제인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설립된 순수 민간종합경제단체로서 법적으로는 사단법인의 지위를 갖고 있다. 회원은 제조업, 무역, 금융, 건설등 전국적인 업종별 단체 67개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기업 432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외자계기업도 포함되어 있다. 설립목적은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을 구현하고 우리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하는데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fki.or.kr

연락처

저경련 경제조사팀 이재수 조사역 02-3771-0495
전경련 홍보실 정조원 02-6336-052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