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일자리 참여 노숙인, 140명 자활의 길로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가 노숙인의 자활·자립과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노숙인 일자리 갖기 프로젝트』를 시행한 지 두 달이 된다.

지난 2월 6일에 600명, 3월 13일에 500명, 총 1,100명이 현장에 배치되었고, 이중 동료에 비해 근면하고 성실한 노숙인으로서 타분야 취업등을 사유로 하여 시설에서 퇴소한 근로노숙인은 3월말 현재 140명이며 1,100명 대비 13 %에 이른다.

타분야 취업자중 단순일용직이 51명(36.1%)으로 가장 많고 건설기능직 30명(21.7%), 귀농 12명(8.6%), 요식업 10명(7.2%), 자영업 3명(2.4%), 기타 34명의 순이다. 이중 8명은 정규직으로 채용되었다.

타분야 취업 등 성공사례

(사례1) 40세의 나이에 운영하고 있던 장난감공장이 부도가 나 노숙을 하게 된 김○○씨는 “구세군브릿지센터”를 통해 1차『노숙인 일자리 갖기 사업』에 참여하였다. 김씨는 종로업그레이드 공사현장에 배치받아 일하며 100%에 가깝게 출석하여 그 성실성을 인정받아 시공업체인 (주)유진 컨스트텍으로부터 정규직원으로 취업하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았다. 김씨는 4월부터 정규직원으로 채용되어 월 160만원의 수입이 보장된 안정된 직장을 갖게 되었다. 그는 서울시에서 제공할 예정인 다가구 임대주택에 입주하여 중학생인 아들과 함께 사는 것이 꿈이라고 한다.

(사례2) “옹달샘드롭인센터”에 입소해 있던 김○○씨는 IMF때 주식투자에 실패하고 뒤이은 가정불화로 이혼한 2000년부터 노숙을 시작했다. 올해 초 금연에 성공하고 종교를 갖게 된 김씨는 1차『노숙인 일자리 갖기 사업』 참여중 시공사인 만수건설로부터 성실성과 근면함을 인정받아 정규직으로채용되었다. 월보수가 100만원에서 180만원으로 크게 올랐고 고시원을 얻어 자신만의 거처도 갖게 되었다. 김씨는 향후 중장비 기술을 배워서 고수입의 안정된 직장을 갖기를 희망하고 있다.

(사례3) “십자가쉼터”에 입소해 있는 손○○씨는 마약에 중독되어 공주치료감호소에서 치료감호를 받던 중 쉼터시설장 안일권 목사의 도움으로 가퇴원하여 십자가쉼터에 입소하게 되었다. 그 후 손씨는 고물장사, 극장청소일 등을 전전하다가 『노숙인 일자리 갖기 사업』에 참여하여 현재 장애인복지시설협회에서 일하고 있고, 칼빈신학교에 다니면서 근로와 학업을 겸하고 있다. 손씨는 틈틈이 공주치료감호소와 부곡정신병원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사례4) 시골에서 일자리를 찾아 무작정 상경한 유○○씨(46세)는 노숙경력 7년 끝에 알콜에 의존하게 되었다. 올해 들어 강한 재활의지를 갖고 술을 끊기로 결심하던 차에 1차『노숙인 일자리 갖기 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근로현장에서 새참으로 주는 술마저도 거절할 정도로 자활의지가 강한 유씨는 현재 한강고수부지 관리 및 청소원으로 일하고 있다. 유씨는 향후 목돈을 마련하여 결혼도 하고 시골의 부모님을 모시는 게 꿈이라고 한다.

(사례5) 올해 초 “구세군충정로사랑방”에 입소한 김○○씨 직접 건설회사를 운영하다가 IMF 위기를 맞아 회사는 도산하고 가정도 붕괴되어 인생의 막다른 골목까지 오게 되었다. “구세군충정로사랑방”에 입소한 후에도 불면증과 경미한 우울증에 시달리며 세상을 원망하기만 하던 김씨는 『노숙인 일자리 갖기 사업』에 참여하여 정기적인 일자리를 갖게 되면서부터 삶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가지기 시작했다. 강력한 자활의지와 능동적 자세를 갖게 된 김씨는 지난 3월초 모범근로자로 인정받아 지하철 907공구 삼성건설 현장소장으로부터 표창장을 수상하였다. 또한 2차『노숙인 일자리 갖기 사업』교육시 강사로 초빙되어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불어 넣어 주었다. 김씨는 노숙인우대통장을 통해 돈을 모아서 조그만 가게를 운영하는 꿈을 갖고 있다.

근로능력 및 자활의지가 미약하거나 개인사정 등으로 현장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도에 포기한 사람도 소수(105명) 있으나, 대부분의 노숙인은 일할 기회가 주어진 것을 반겼고, 다른 사람의 도움이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한 만큼 정당하게 대가를 받는다는 생각에 만족하고 있다.

서울시는 봄철 해빙기를 맞아 본격적으로 건설공사가 활성화되어 공사현장이 많아짐에 따라, 『노숙인 일자리 갖기 프로젝트』참여경험을 살려 더욱 더 많은 노숙인이 사회에 복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복지건강국 노숙인대책반 02-6360-4540
(구세군브릿지센터 363-9199) .(옹달샘드롭인센터 2068-9113)
(십자가선교회 941-2503) (행복한우리집 2675-4379) (구세군충정로사랑방 313-199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