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네트워크시스템용 최대용량 S램 개발
QDR S램은 고성능 네트워크 시스템의 주기억 메모리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전용 국제 표준 S램 제품을 말하며, 한 번의 전기신호에 4개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일반 S램 대비 4배의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춘 초고성능 S램이다.
특히, QDRⅠ 보다 제품 사양이 한층 개선된 QDRⅡ 규격을 적용한 이번 72Mb QDRⅡ S램은 기존 36Mb QDRⅡ S램 대비 용량은 2배, 속도는 20% 향상된 업계 최고 성능의 S램 제품이다.
최근,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급속한 발달로 보다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네트워크용 메모리도 대폭적인 성능 향상이 필요해 졌다.
현재 네트워크 시스템용 메모리는 18Mb와 36Mb 급의 용량과 1Gbps 대 속도를 갖춘 고성능 QDRⅡ S램 제품이 신규시장을 형성 중이지만, 앞으로는 용량과 속도면에서 한층 개선된 제품이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 데이터퀘스트도 72Mb급 대용량 S램 시장이 올해부터 연평균 135%의 급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 향후 S램 시장은 점차 대용량, 초고속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한층 향상된 용량과 속도를 갖춘 삼성전자의 이번 72Mb QDRⅡ S램 제품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고성능화는 물론 S램의 대용량화에도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내년 상반기에 이번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대용량의 144Mb QDRⅡ S램도 개발,'05년 세계 네트워크 시스템용 S램 시장의 50%를 점유할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95년 S램 시장 점유율 1위에 올라선 이래, 지난해까지 9년 연속 S램 시장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27%의 시장점유로 상위 2~4위 업체의 매출을 합한 규모를 넘어서는 압도적 성과를 달성했다.
<참고자료>
□ QDR (Quad Date Rate) S램 : 차세대 초고속 네트워크 시스템에 필수적인 10G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 삼성전자를 주축으로 마이크론, 사이프레스, NEC, 히타치, IDT 등 세계적인 메모리업체들이 모여 구성한 기술제휴 컨소시엄 "QDR Camp" 의 제품 표준.
□ QDRⅠ, QDRⅡ 구분
제품 속도가 QDRⅠ 은 668Mbps 까지이고, 그 이상은 QDRⅡ
□ S램 속도
일반적으로 QDR은 1번 신호에 4개 데이터 동시 전송하므로, 일반 S램 비해 4배 빠르다고 할 수 있음
일반 S램으로 따지면 이번제품은 300MHz의 동작속도 지만 동작을 네번하니까 곱하기 4 해서 데이터 전송속도는 1.2Gbps 일반적으로 일반 S램은 동작속도 200MHz, 데이터전송속도도 200Mbps 이하임
□ 삼성전자 S램 시장점유율 추이
'95년 10.7% 1위
'96년 12.5% 1위
'97년 14.7% 1위
'98년 20.5% 1위
'99년 21.6% 1위
'00년 20.6% 1위
'01년 25.9% 1위
'02년 27.6% 1위
'03년 26.9% 1위
(출처 : 데이터퀘스트)
삼성전자 개요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디지털 미디어와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부문, 디지털 미디어 부문, LCD 부분, 반도체 부문, 통신 네트워크 부문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인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디지털 TV, 메모리 반도체, OLED, TFT-LCD 분야에서 세계 선두 주자다.
웹사이트: http://www.samsung.com/sec
연락처
홍보팀 홍경선 과장 02-727-7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