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만화정보센터, 2005 만화산업통계연감 발간

부천--(뉴스와이어)--재단법인 부천만화정보센터(이사장 이두호, www.kcomics.net)는 우리나라 만화시장의 현황과 최근 5년간 출판만화의 발행경향을 통계·분석한 『2005 만화산업통계연감(이하 통계연감)』을 최근 발간했다.

이두호 이사장은 “이번 통계연감은 최근 5년간 우리나라 출판만화현황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총망라한 최초의 자료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며 “만화산업이 출판산업의 장기적인 침체와 맞물려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그동안 출판만화 유통구조 개선, 각종 창작활성화 지원, 해외시장진출 본격화, 원작산업으로서의 타 문화산업에의 막대한 파급력 확인, 다매체 시대의 새로운 창작의 시도와 성공 등을 통해 산업으로서의 발전가능성을 재확인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만화관련 기업체의 시장조사 및 마케팅 역량을 제고시키고, 기관 및 단체의 정책수립과 현황판단 자료로 활용됨은 물론, 만화의 문화산업적 연구와 학술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권두에 2005년 만화계 동정을 싣고 있는 통계연감은 총3부 438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통계연감을 들여다보면, 2005년 우리나라 출판만화판매시장 규모는 아동·학습만화시장을 제외하고 1,242억으로 집계되었으며 만화대여시장은 3,251억, 온라인 만화서비스시장은 142억으로 집계하였다. 한편, 통계연감 발행을 진행한 윤대진 콘텐츠 팀장은 “아동·학습만화의 범위와 출판이 계속 확대되고 있고 발행종수 및 판매부수를 산출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부족하여 이를 포함한 전체 만화산업의 소비시장규모를 산정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아동 · 학습만화 시장의 개념정립과 더불어 신뢰할 수 있는 각종 경기 표준지표의 마련, 지속적인 기초시장 조사체계와 관리가 요구 된다”고 말했다.

<1부 총론편>에서는 만화산업의 개념과 시장규모 및 현황 등을 종합하여 만화산업의 이해를 돕도록 구성했다. 특히 출판만화산업의 구성 주체를 작가, 출판사, 유통업체, 소비자(독자)로 분류하여 각 주체별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2부 통계편>에서는 출판만화 판매시장의 규모와 현황에 대한 통계를 다루고 있으며, 출판만화의 유형에 따라 만화단행본, 일일만화, 만화잡지, 아동·학습만화로 나누어 시장규모와 작가, 출판사, 국적, 점유율 등의 관점에서 구체적 통계를 제시하고 있다.

출판만화의 유형에 따라 일부 통계를 살펴보면,
만화단행본은 2005년 한해 동안 총4,558종이 발행되었으며 전년대비 12.99%(816종) 감소하였다. 시장규모는 923억으로 전년대비 10.3%(107억)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국적별로는 한국만화가 30.34%(1,383종), 번역만화가 69.66%(3,175)종으로 일본만화 중심의 번역만화 출판에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르별 출판경향은 순정 26.31%, 드라마 18.34%, 성인 14.11% 순(첨부 사진참조)으로 조사되었다. 만화단행본의 평균정가는 2001년 3,488원에서 2005년 4,202원으로 714원 증가한 반면 평균면수는 203페이지에서 193페이지로 10페이지 감소하였다. 특히, 만화단행본의 해적판은 2002년 816종에서 2005년 31종으로 대폭 감소하여 당시 30억 규모에 달했던 해적판 시장이 자취를 감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근 5년간 만화단행본 다작작가는 김성모 작가로 모두 698편의 단행본을 발행하였고 박봉성(539종), 신형빈(300종) 작가가 그 뒤를 있고 있다. 2005년 한해동안 만화단행본을 출판한 실적출판사가 모두 63개사인 반면, 최근 5년간 매년 500종 이상을 발행하고 있는 출판사는 3곳으로 2005년에 대원씨아이가 1,058종, 학산문화사가 1,047종, 서울문화사가 786종을 발행하여 상위 3개사가 63.42%의 발행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일일만화는 2005년 한해동안 총5,570종이 발행되었으며, 전년대비 10.36%(523종) 증가하였고 시장규모는 283억으로 전년과 동일하였다. 장르별로는 무협 51.15%(2,849종), 액션37.50%(2,089), 드라마 5.46%(304종) 순으로 발행되었다. 또한, 2005년 한해동안 일일만화 출판에 활동한 실적작가는 프로덕션을 포함하여 모두 32명으로 나타났고, 최근 5년간 다작작가는 야설록 작가로 모두 2,596종을 뒤이어 황성(2,314종), 사마달(2,139종) 작가순으로 조사되었다.

만화잡지는 2005년 한해 동안 총320종이 발행되었으며 전년대비 7.78%(27종) 감소하였다. 시장규모는 36억으로 전년대비 2.87%(1억)의 소폭 상승하였다. 평균정가는 2001년 2,923원에서 2005년 3,649원으로 726원 올랐으며, 대상별로는 청소년잡지 4개, 순정잡지 5개, 아동잡지 7개로 모두 16개의 만화잡지가 발행되고 있으며 그 중 주간 2개, 격주간 6개, 월간 7개, 계간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 · 학습만화의 평균면수는 2001년 207페이지에서 2005년 192페이지로 15페이지 감소한 반면, 평균정가는 7,142원에서 8,785원으로 1,643원이 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3부 참고편>에는 2005년 만화단행본 발행목록, 만화관련 학·협회 및 단체 현황, 2001년부터 한번이라도 만화를 출판한 실적이 있는 만화출판사 총목록, 만화총판 주소록 및 온라인 만화서점 리스트와 만화관련 대학(교) 목록을 수록하고 있어 산업적, 정책적, 연구·학술적 참조정보원으로써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재단법인 부천만화정보센터는 앞으로 만화산업현황을 항해할 수 있는 이정표와 나침반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통계연감을 매년 보완하여 발행할 계획이다.

만화출판사, 유통사, 라이센싱 회사 등 만화산업 관련업체와 대학, 학술연구단체, 만화산업 관련 기관 및 협회(단체), 그리고 문화산업 연구자 및 정책기획자 등을 대상으로 800부를 무료배부하게 되며 만화규장각 홈페이지(www.kcomics.net)를 통해 인터넷으로도 배포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문의처 : 부천만화정보센터 콘텐츠팀 윤대진 팀장(032-320-3745~6/ yundaejin@kcomics.net)

□ 『2005 만화산업통계연감』의 주요내용

· 2005년 만화계 동정
· 제1부 총론
제1장 만화산업의 이해
제1절 만화산업의 개념
제2절 만화산업의 시장규모
제2장 만화산업의 구성주체별 주요 현황
제1절 작가(창작) 현황
제2절 출판사(제작) 현황
제3절 만화유통 현황
제4장 소비자(독자) 현황
· 제2부 통계편
제1장 출판만화 시장현황
제1절 우리나라 출판만화 시장규모
제2절 출판만화 시장 주요통계
제2장 만화단행본 통계
제1절 만화단행본 시장규모
제2절 형태별 만화단행본 출판 통계
제3절 국적별 만화단행본 출판 통계
제4절 점유율별 만화단행본 출판 통계
제5절 장르별 만화단행본 출판 통계
제6절 출판사별 만화단행본 출판 통계
제7절 작가별 만화단행본 출판 통계
제8절 기간별 만화단행본 출판 통계
제9절 만화단행본 출판통계 일반
제3장 일일만화 통계
제1절 일일만화 시장규모
제2절 형태별 일일만화 출판 통계
제3절 장르별 일일만화 출판 통계
제4절 출판사별 일일만화 출판 통계
제5절 작가별 일일만화 출판 통계
제6절 기간별 일일만화 출판 통계
제7절 일일만화 출판통계 일반
제4장 만화잡지 통계
제1절 만화잡지의 시장규모
제2절 형태별 만화잡지 출판 통계
제3절 대상별 만화잡지 출판 통계
제4절 출판사별 만화잡지 출판 통계
제5절 발행기간별 만화잡지 출판 통계
제6절 만화잡지 출판통계 일반
제5장 아동 · 학습만화 통계
제1절 아동 · 학습만화의 개념과 특징
제2절 형태별 아동 · 학습만화 출판 통계
제3절 장르별 아동 · 학습만화 출판 통계
제4절 출판사별 아동 · 학습만화 출판 통계
제5절 아동 · 학습만화 출판통계 일반
· 제3부 참고편
제1장 2005년도 만화단행본 발행 목록
제2장 만화관련 학 · 협회 및 단체 현황
제3장 만화출판사 목록
제4장 만화총판 목록
제5장 온라인 만화서점 목록
제6장 만화관련 대학(교) 목록




웹사이트: http://www.kcomics.net

연락처

홍보담당자 : 부천만화정보센터 최미영
문의 : 032-320-3745 / 011-826-3719 /이메일 보내기 / 이메일 보내기 /MSN: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