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IDC, 국내 모바일 컨텐츠 시장 2008년 6조 5,900억원대 규모 전망

서울--(뉴스와이어)--한국IDC (대표:오덕환, www.idckorea.com)가 최근 발간한 '한국 모바일 컨텐츠 시장 분석 및 전망 보고서, 2004- 2008'에 따르면, 국내 모바일 컨텐츠 시장은 2004년 2조 8,300억원대 규모를 형성한 뒤, 연평균 28.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08년에는 6조 5,980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동통신 서비스와 디지털 컨텐츠가 결합된 모바일 컨텐츠는 단문메시징서비스(SMS)를 시작으로, 무선 인터넷과 결합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2002년 상용화된 EV-DO를 중심으로 3G 서비스의 본격적인 개막과 더불어 네트워크의 고도화 및 컨텐츠의 다양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등장,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으로의 진입 등의 가치사슬이 형성되면서 모바일 컨텐츠의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 시장은 과거 이 시장을 주도했던 단문 메시징 서비스(SMS)의 뒤를 이어, CDMA 1X 및 1X EV-DO 기술이 확산되면서 관련 컨텐츠의 다양화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2003년의 경우, 1X에 대한 무선 사업자들의 설비 투자가 완료되고, 1X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 추세를 보이며, CDMA 1X EV-DO로의 전환이 빠르게 시도됨에 따라, 무선 데이터를 위한 인프라는 거의 확보된 상황이다. 이러한 인프라를 토대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VOD(Video on Demand), MOD(Movie on Demand), mCommerce 등 다양한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음성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당 평균 수익률인 ARPU의 경우, 요금 인하와 통화량 증가폭 감소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해 상승폭이 크지 않으며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전체 ARPU의 증가를 이끌기 위해서 사업자들은 무선 데이터에 대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무선 컨텐츠의 진화 내용을 보면, 초기의 모바일 컨텐츠는 메일, 뉴스, 날씨 등의 텍스트 기반의 단순 정보성 문자 컨텐츠들이 주로 사용되었다. 2001년에는 벨소리, 그림, 그리고 채팅 등 현재 실질적인 매출을 실현하고 있는 모바일 컨텐츠들이 부상하며 무선 컨텐츠 비즈니스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시작했다. 2002년은 모바일 게임의 급부상과 함께 mCommerce의 기반 인프라가 확충되어 새로운 비즈니스의 영역이 등장하고 서비스의 다각화가 실현되었다. 2003년에는 기존의 엔터테인먼트 위주의 서비스에서 나아가 정보성 컨텐츠의 개발과 보급이 사업자들 간에 주요 전략으로 실행되었다. 차세대 킬러 컨텐츠로 전면 부상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도 MMS, 3D, Flash, ePhoto 등으로 그 범위가 다양화되어 본격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한국IDC 한인규 선임연구원은, "무선 인터넷 컨텐츠는 컨텐츠 별로 그 속도에 차이는 있겠으나 무선 브로드밴드 컨텐츠로서 서비스의 고도화/고급화를 실현해왔고 그 종류도 다양해져 단순 문자 채팅에서 mCommerce에 이르기까지 그 깊이와 넓이를 확장해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고 말하고, "LG텔레콤이 내년부터 선보일 EV-DV와 WCDMA의 점진적 확산세에 힘입어 모바일 컨텐츠는 규모의 확대와 다양성이 동시에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웹사이트: http://www.idckorea.com

연락처

한국IDC 김현주 02-551-438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