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을 만든 인재 시스템 전격 해부 ‘대한민국 인재사관학교’
<삼성 사장들의 두 가지 모델>
공채 출신
·영남지역에서 태어나 서울대 상대 졸업
·공채로 입사해 재무회계 업무 담당
·해외근무를 거쳐 전략기획실 근무
·입사 후 12년 전후인 41세에 임원으로 승진
·52세에 사장으로 승진해서 7~8년간 CEO로 활약
외부영입파
·서울대 공대 졸업한 뒤 외국에서 석박사 학위 취득
·삼성전자 등 전자계열사에 경력사원으로 입사
·이후에 사장으로 승진하는 나이는 공채 출신과 비슷함
삼성이 왜 다른가를 따지기보다 삼성의 인재가 왜 특별한가에 주목하라!
삼성은 무엇이 어떻게 다르고, 삼성의 인재들은 왜 특별한가?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인재사관학교』는 단순히 삼성이라는 한 기업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오늘날 우리나라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갖추어야 할 경쟁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서이자, 그 속에서 개인들은 어떤 모습으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 신현만 씨는 현직 헤드헌팅회사 대표라는 자신의 이력을 살려, 삼성의 인재 시스템에 대해 치밀하고 완벽하게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눈부신 성장을 거둔 삼성의 밑바탕에 ‘인재 제일주의’가 깔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삼성이 오늘날의 모습으로 발전을 이루게 된 것은 인재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와 교육에 있다고 보고, 삼성의 인재정책을 입사 시점부터 CEO가 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특히 삼성은 능력이 뛰어난 사람에게 여러 가지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유능한 핵심인재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그 정점에는 스타급 CEO들이 있다. 삼성의 CEO는 치열한 내부경쟁과 외부경쟁을 뚫고 살아남아 업계에서 선두를 달리는 ‘승자’들이다.
이러한 CEO들을 지역별, 출신(공채와 영입)별, 전공별, 업종별 등으로 다양하게 분석한 자료를 통해, 이제까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삼성의 CEO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여러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삼성 CEO들의 표준 모델은 삼성 인재 시스템의 단면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구조조정본부에서 전략기획실로 명칭과 구조를 개편한 점 등 최근에 삼성이 겪고 있는 변화의 흐름을 신속하게 담아내고 있어서, 이제까지 나온 그 어떤 삼성 관련 책들보다 새롭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삼성의 시스템을 알고 싶고 배우고자 하는 기업들, 미래 삼성의 CEO를 꿈꾸는 삼성의 임직원들, 그리고 삼성에 입사하고자 하는 대학생 등 삼성에 대해 좀더 많은 것을 알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통해 삼성에 관한 가장 분석적인 자료와 최신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누가 삼성의 CEO가 되는가’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 자료 제시!
삼성의 CEO들은 크게 공채 출신과 외부영입파로 나눌 수 있다.
공채 출신들의 경우는, 영남에서 태어나 서울대 상대를 졸업한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대학을 졸업한 뒤 공채로 입사해 재무회계 업무를 담당하는데, 해외근무를 거쳐 전략기획실(옛 구조조정본부)로 발탁된다. 입사한 지 12년 전후인 41세에 임원으로 승진해 계열사로 배치된다. 임원으로 승진한 뒤 10년간 해외근무나 전략기획실 근무를 하면서 경영수업을 쌓고, 52세에 사장으로 승진해서 7~8년간 CEO로 활약한다.
외부영입파의 경우는 서울대 공대를 졸업한 뒤 외국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치고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한 전자 계열사에 경력사원으로 입사한다. 이들 중 상당수는 공채 출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직급으로 입사하지만, 내부 적응과정에서 시간을 소비해 사장으로 승진하는 나이는 공채 출신들과 크게 차이가 없다.
결국 삼성은 외부에서 유능한 인재들을 파격적 조건으로 많이 채용하고 있지만, 그들에게 CEO 자리를 맡길 때까지는 오랜 시간 동안 철저하게 검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EO가 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일단 되고 나면 많은 혜택과 동기부여를 통해 마음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수많은 인재들이 삼성의 CEO가 되기 위해 오늘도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내용>
·1부는 삼성맨들이 왜 최고의 인재로 인정받고 있는지 그 이유를 분석한다. 삼성이 다른 기업들과 다른 점은 무엇이며, 인재양성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이는지 잘 알 수 있다.
·2부는 삼성이 이러한 인재들을 어떤 절차를 거쳐 뽑고, 뽑은 뒤에는 어떻게 철저하게 교육시키며, 삼성에서 승진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입사시험과 면접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생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입사 뒤 실시되는 4주간의 신입사원 연수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삼성맨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한눈에 지켜볼 수 있다.
·3부는 삼성의 인재 중에서도 최고 정점이라 할 수 있는 삼성 CEO들의 특징과 유형을 다룬다. 삼성에서 CEO가 된다는 것은, 적자생존의 냉정한 원칙만이 존재하는 정글에서 살아남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전통적으로 삼성의 CEO들은 제일모직에서 많이 배출되었으나 이건희 회장 이후로는 삼성전자가 우세를 보였다. 그리고 이제 이재용 상무의 시대가 되면 새로운 유형의 CEO들이 나타날 것이다. 삼성을 거쳐간 CEO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삼성의 인재상이 기본적으로 어떤 것이며, 시대에 따라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흐름을 읽을 수 있다.
·4부는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삼성의 전략과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원하는 인재상에 대해 알아본다. 원천기술의 부재라는 딜레마를 딛고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삼성이 내놓은 해답은 바로 디자인이다. 그리고 새로운 삼성을 이끌 리더의 조건으로 글로벌 인재가 떠오르고 있다.
·부록에서는 삼성의 전현직 CEO 100명의 프로필과, 그 프로필을 바탕으로 분석한 CEO 100명의 통계 자료와 해설을 제시하고 있다. 삼성 CEO들의 경력을 한자리에 모아 놓고 비교해 놓은 보기 드문 자료이자, 삼성이 지향하는 인재상을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기초자료라고 할 수 있다.
추천사
“이 책은 삼성의 시스템과 조직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이제까지 알려진 것과는 또 다른 삼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삼성 시스템이 놀라운 것은, 세계 유수 기업들의 시스템을 가져와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새로운 시스템으로 만들어냈다는 사실이다. 도요타나 GE 등 세계적 기업들의 시스템이 훌륭한 것도 그들의 기업 이념과 상황에 맞는 독창적인 시스템을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삼성 시스템의 중심에는 바로 ‘사람’이 있다. 즉 좋은 인재를 찾아내고 교육시키고 키우는 것이 삼성 시스템의 기본 이념인 것이다.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삼성을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부분도 바로 이 인재를 발굴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그동안 많은 기업들을 컨설팅하고 경영혁신을 추진해 왔지만, 삼성만큼 탄탄한 조직력과 최고의 인재 개발 시스템을 갖춘 곳도 드물 것이다. 삼성이 단순한 ‘대기업’이 아니라 한 사람이 가진 가능성과 잠재력을 극대화해서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인재사관학교’라고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주)네모파트너즈 대표 정택진
지은이 | 신현만
서울대학교 영어교육학과와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을 졸업했고, 미국 미주리주립대학교의 저널리즘 스쿨에서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한겨레신문사에서 정치부와 사회부를 거쳐 경제부 기자로 오랫동안 활동했으며, 사장실 비서부장과 기획부장으로 일했다.
한겨레신문 경제자회사인 한겨레이앤씨의 초대 사장을 맡아 경제주간지 『Economy21』과 여성 골프지 『Golf for Women』을 발행하고 기업평가와 컨설팅 사업을 전개했다.
현재 다국적기업과 국내 대기업 등 3,000여 개 주요 기업에 고급인재를 추천하고 있는 한국 최대 헤드헌팅회사인 커리어케어(www.careercare.co.kr)의 대표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입사 후 3년』,『저축하지 맙시다』, 『장수기업 장수상품』(공저) 등이 있다.
위즈덤하우스 개요
(주)위즈덤하우스 출판사는 자기계발.경제경영 전문 브랜드 '위즈덤하우스', 문학.예술.인문의 '예담', 청소년학습. 자녀교육의 '예담friend', 아동 '스콜라', 역사 '조화로운삶', 불교.영성 '조화로운삶', 실용.취미 '위즈덤스타일' 등의 브랜드로 양질의 책을 출판합니다.
웹사이트: http://www.wisdomhouse.co.kr
연락처
위즈덤하우스 홍보팀 허형식 대리, 02-704-3861(122), 019-436-6018,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