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멀티코텍 기술 국제 표준 채택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임주환)는 지난 14일, 스위스 제네바의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본부에서 개최된 SG16 총회에서 정통부의 선도기반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연구개발 중인 “가변대역 멀티코덱 및 제어기술 개발” 과제에서 “멀티코덱 기술”이 G.729EV 표준으로 채택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국제표준은 광대역통합망(BcN), 와이브로, 유선 및 무선랜(LAN) 등에서 유선전화와 휴대폰보다 우수한 품질의 인터넷전화(VoIP)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기술로서 국내최초로 ITU-T G계열의 코덱관련 표준권리 확보에 성공한 것이다.
코덱기술은 인터넷전화,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뿐만 아니라, 유선전화망과 이동망 등의 연동기능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멀티미디어 서비스 서버 등에서 필수적으로 장착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핵심원천기술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국제표준 코덱기술이 없어, 인터넷전화, 휴대폰 등 관련 산업체에서는 연간 1억불 수준의 기술료를 지불하고 전량 외국기관으로부터 수입하여 왔다.
이번 국제표준 권리확보에 따라 기존의 코덱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외국 기관과의 IPR(지적재산권) 사용에 대한 크로스 라이센싱(Cross Licensing; 교차 권리교환)이 가능하져 로열티 지불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G.729EV 기술은 국내외의 유선 인터넷전화(VoIP), 무선랜(WiFi) 인터넷전화(VoIP), 휴대인터넷(Wibro)을 비롯한 대화형 인터넷 방송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도입에 따라 급속한 보급이 예상된다.
이번 연구개발 책임자인 ETRI 김도영 멀티미디어통신연구팀장은, “이번 멀티코덱 기술이 ITU-T에서 국제표준으로 채택되어 현재 인터넷전화 서비스의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통화 품질을 향상시켜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장 확대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코덱기술은 경제적 측면에서 국내시장은 2008년경 1,600억원 규모로 예상되며 세계 인터넷전화 장비 시장은 10조원 규모로 전망된다.
1)ITU-T : 국제전기통신연합(UN 산하기관, 전기통신에 대한 공식적인 국제표준화 기구)
2)SG16 : Study Group 16(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국제 표준화를 담당)
3)G.729EV : 현재의 인터넷전화(VoIP) 서비스에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G.729 표준과 직접 연동가능하며 14~32 킬로비트/초 정도의 정보량으로 사람 음성의 모든 발성대역(광대역; 50~7000Hz)을 부호화하여 원음에 가까운 고품질의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함.
EV는 Embedded VBR(Variable Bit Rate)로서 가변비트율 특성을 갖는 멀티코덱을 의미함
4)CODEC은 COder-DECoder의 약자로 COder란 데이터를 특정한 목적에 적합하도록 가공(변환)하는 것이며, DECoder는 변환된 데이터를 다시 원래상태로 되돌려 주는 것임
5)전망 - 출처 : IDC 2005 인터넷전화 시장전망 조사 자료
※ 코덱이란?
쉽게 얘기하자면 영상을 압축하고 풀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코덱의 종류로는 곰플레이어, 사사미, 아드레날린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카메라로 찍은 영상들은 엄청난 크기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그대로 PC 하드에 저장한다면 수십기가(GB)가 넘어버릴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처리 없이 원래의 데이터를 그대로 CD에 담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방대한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는 압축방법과 이를 다시 압축 해제하여 화면에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런 것들을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이 “코덱” 이다.
※ 추진경과
- 2005년 7월 : ITU-T SG16의 G.729EV 코덱 표준을 위한 최종 품질 시험(통과기관: ETRI, 프랑스텔레콤, 지멘스연합, 보이스에이지)
·지멘스연합 : 지멘스(독일), 마쓰시다(일본), 마인드스피드(미국)의 기술을 통합
- 2005년 10월: ITU-T SG12에서 기관간 최우수 기술통합 방식의 국제표준추진 협의 및 승인 (G.729EV 국제표준 공동개발 컨소시엄 결성)
- 2005년 12월 ~ 2006년 2월: 5개 언어(한국어, 불어, 영어, 일본어,독일어)에 대한 품질시험 실시
- 2006년 3월: SG12에서 품질시험 결과가 G.729EV 요구사항을 만족함을 확인하고 시험결과 승인
- 2006년 3월: 프랑스텔레콤등과 공동으로 G.729EV 국제표준 초안 및 응용에 대한 3건의 국제표준 기고서 제출
- 2006년 4월: SG16 총회에서 초안검토 및 국제표준으로 채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요
ETRI는 전전자식교환기 (TDX),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CDMA)등의 정보통신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우리나라가 정보통신 강국으로 진입하는데 획기적인 기여를 해 온 국내 최대의 정보통신 국책 연구 기관이다.
웹사이트: http://www.etri.re.kr
연락처
멀티미디어통신연구팀장 김도영 042-860-5180
홍보실 김기현 042-860-3916 017-515-1097 solofeye@et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