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궁중의 무용과 음악 관광자원화 한다

서울--(뉴스와이어)--조선시대 궁중잔치 때 거행된 궁중무용과 음악이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사장 이동식) 주최로 4월 23일부터 11월 26일 까지 매주 일요일(7,8월 제외) 오후 2시 창경궁 명정전과 통명전에서 상설로 재현된다.(단, 23일 개막행사는 오후 1시 개최)

문화관광부와 문화재청의 지원으로 개최되는 이번 재현행사는 조선초기부터 궁중의 잔치에 거행된 무고(舞鼓), 향발무(響鈸舞), 포구락(抛毬樂) 등 궁중무용을 상설화하고 의례에 참가한 국왕의 궁내 거둥(행차) 장면을 재현하여 고궁을 찾는 내외 관광객들이 한국 궁중문화의 진수를 접하고 함께 누릴 수 있도록 마련한 사업이다.

고궁 관광자원화 사업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정적인 고궁의 건축문화와 조화로운 분위기를 위하여 1743년(영조19년) 영조의 50회 생일을 기념하여 창경궁 명정전에서 개최된 오순잔치와 1877년(고종14년) 대왕대비 신정왕후의 칠순을 기념하여 통명전에서 개최된 잔치에 선보인 궁중무용과 음악을 중심으로 재현한다.

이번 궁중정재 재현행사는 총 30회 예정으로 정전인 명정전에서 무고무(舞鼓舞), 향발무(響鈸舞), 처용무(處容舞), 포구락(抛毬樂), 가곡우락 등 공연 15회, 통명전에서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만수무(萬壽舞),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창사 등 공연 15회로 구성하여 진행할 예정이며 외국관광객의 지속적인 참관이 가능하도록 관광공사, 외국인의 국내관광을 담당하는 여행사에 홍보하여 예측 가능한 관광상품으로 발전시켜갈 계획이다.

아울러 고궁을 찾는 청소년이나 시민들이 궁중정재를 중심으로 조선조 왕실문화를 이해하는 사회 교육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각급학교, 단체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홍보하여 참관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궁중연향은 조선왕조 통치질서의 근간인 오례(五禮), 즉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흉례(凶禮) 중 가례에 속하는 예제로서 만민화친(萬民和親)의 취지로 국초부터 국말까지 지속적으로 설행되었다.

조선시대 궁중잔치(연향)는 궁중에서 거행된 풍정(豊呈),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 수작(受爵) 등으로 대비, 왕대비 등 왕실어른의 생신, 회갑, 칠순, 국왕의 즉위기념이나 기로소입소(入耆老所), 존호가상(尊號架上), 망오(望五), 망팔(望八) 같은 국가적인 경사를 축하하고 왕실의 안정과 만민화친을 위한 조선시대 대표적인 국가의례이다.

현존하는 의궤기록으로는 1630년(인조8년) 인목대비의 46회 탄신기념일에 거행된 경오년 풍정도감의궤 등 20여건으로 국왕을 위한 잔치가 9건, 대비나 왕대비를 위한 잔치가 11건 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화성능행도병(華城陵幸圖屛) 중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 등 수십 종의 그림자료 등 기록을 통하여 궁중잔치의 전모를 파악 할 수 있다.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 국내외 관광객을 위해 금년도 역점사업으로 추진중인 본 행사는 역사적인 기록에서도 밝혀진 바와 같이 시민들뿐 아니라 외국관광객 등 고궁을 찾는 모든 관객들이 본 행사를 통하여 궁중문화를 이해하고 서로 화친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한국에 대한 지속적인 관광객 수요를 창출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2005년도 내한 외국관광객 600만명 중 경복궁 820,000명, 창경궁 2,300명이 관람한 현상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고궁에 편중된 외국관광객의 분산은 물론 궁중연향의 재현 장으로 창경궁이 새로운 명소로 거듭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재단은 본 의례의 흥미로운 관람을 위하여 궁중정재전문가와 음악전문가를 특별히 초청하여 현장해설과 더불어 직접 출연케 함으로써 고궁을 찾는 국내외 관광객들의 높은 호응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사업기획팀 전화3011-2153)에서 제공한다.

조선시대 궁정정재 상설재현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06. 4. 23 - 11. 26(7, 8월 제외) 기간 중 일요일 오후 2시(1시간 20분)(4. 23일 개막행사는 오후 1시 개최)

□ 장 소 : 창경궁 명정전 및 통명전

□ 주 최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후 원 : 문화관광부, 문화재청

□ 시대배경 : 1743년(영조19년) 영조오순잔치, 1877년(고종14년) 조대비 칠순잔치

□ 재현내용
- 의례부분 : 국왕 및 산선시위 등 입장, 국왕 궁내 거둥(행차)
- 정재공연 : 포구락, 만수무, 장생보연지무, 가인전목단, 창사, 대금정악 등

□ 정재전문가 출연
- 궁중정재무용 : 김영숙(정재연구회 예술감독)
- 집박,궁중음악 : 김관희(국립국악원 음악 지도위원)
- 무용 및 악사 : 한국의집 예술단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개요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은 문화재청 산하 전통문화 전승 보급을 담당하는 특수법인입니다.

웹사이트: http://www.fpcp.or.kr

연락처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사업기획팀 홍혜진 02-3011-2153 011-1741-5539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