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방송 3사 2004 아테네올림픽 편성 현황 분석

서울--(뉴스와이어)--방송위원회(위원장 盧成大)는『지상파방송 3사 2004 아테네올림픽 편성현황 분석』결과, 금번 올림픽 방송기간 동안 지상파방송 3사의 동일경기에 대한 중복편성과 중계종목간 편성편중이 심각했으며,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지상파방송사업자들의 논의의 장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방송법 제1조에서 규정한 방송의 공적 책임, 시청자의 권익보호, 공공복리 증진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이번 보고서는 금번 올림픽기간 지상파방송 3사의 한국선수 출전경기 편성현황, 올림픽 종목별 편성현황, 채널간 중복편성현황 등을 살피고 이의 문제점 및 원인을 분석하는 동시에 개선방향을 제언하고 있다.

방송위원회는 해당 분석보고서를 지상파방송 3사에 통보하여, 개선책 마련에 힘쓸 것을 당부하였다. 이번 분석을 통해 나타난 지상파방송 3사 2004 아테네올림픽 편성의 문제점, 원인과 개선방향은 아래와 같다.

1. 문제점

가. 채널간 중복편성
금번 올림픽 기간동안 지상파방송 3사의 동일경기에 대한 동시중계가 전체올림픽 중계시간의 상당량에 달함.

조사대상 기간(8월 13일~8월 29일, 15:00~익일 06시)중 지상파 2개 채널 또는 3개 채널의 동일경기 동시중계는 전체 지상파방송 3사 전체 올림픽 중계물 편성시간의 43.5%임.

이중 특히 3개 채널의 동일경기 동시중계는 일평균 3.2시간으로 이는 전체 지상파방송 3사 전체 올림픽 중계물 편성시간의 30.4%에 달하는 수치임.

이러한 중복편성은 특히 한국선수의 메달획득 유망 종목에 (핸드볼, 축구, 농구, 하키, 수영, 유도, 체조, 사격, 양궁, 배드민턴, 복싱, 육상, 역도 등 13종목)에 집중됨.

나. 종목간 편중편성
금번 올림픽 기간 동안 지상파방송 3사는 한국선수 메달획득 유망 종목 또는 국내인기종목만을 집중편성하고 소외종목은 적게 편성하거나 편성하지 않아 시청자의 선택권을 제한했음.

조사대상 기간(8월 13일~8월 29일, 15:00~익일 06시)중 지상파방송 3사 각 채널 당 4개~10개 종목이 편성되지 않았으며 2개종목(요트, 소프트볼)이 3사중 단한 곳에서도 편성되지 않았음.

축구의 경우, 응원전과 하이라이트 장면을 포함해 방송3사 평균 12.9시간 (전체 올림픽 방송시간의 10.2%) 중계됐으나, 소외종목 9개(조정, 근대5종, 카누, 철인3종, 펜싱, 테니스, 싸이클, 승마, 야구)는 모두 합해도 방송3사 평균 4.3시간(전체 올림픽 방송시간의 3.4%)만 편성됨.

다. 하이라이트 식 편성
지상파방송 3사는 타사와 경기중계를 배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 채널내에서 더 다양한 경기물을 편성하고자 경기 하이라이트 장면을 혼합중계하는 경향을 보임.

이에 따라, 시청자가 경기의 과정 및 맥락을 이해하거나 집중시청하는 데 어려움을 줬음.

2. 원인
이러한 문제점들은 지상파방송 3사의 고질적인 시청률 경쟁 및 광고매출경쟁에 기인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스포츠중계 공동방송을 위한 방송3사의 합의의 계기가 부족했기 때문임.

3. 개선방향
한국의 경우, 지상파방송 3사가 국제스포츠에 대한 공동중계권을 획득해왔으므로, 한발 나아가 국내방송사간 중계경기 분배방식에 대한 합의를 이루어냄으로써 해당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

다만, 방송3사의 공동중계권 체체 협약이 종료된 후 계약갱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자유경쟁에 의한 독점중계체제를 취할 것이며 이러한 경우라도 중계권을 소유하지 않은 방송사업자의 취재권 및 인용권을 보장하는 등 보완책 마련이 뒤따라야 할 것임.

이러한 논의에서 방송사업자의 방송편성권은 방송법 제3조에서 규정하는 방송사업자의 고유권리이기 때문에 해당 지상파방송사업자간의 합의는 가장 우선시 되는 사항임.

그러나 방송법 제69조는 방송사업자가 방송프로그램 편성에 있어 다양성과 균형성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개선을 위한 해당 지상파방송사업자간 합의가 어려울 경우, 보다 다원적인 사회적 합의기구를 구성하는 방안이 모색될 수 있음.


방송위원회 개요
방송위원회는 방송의 활성화와 시청자를 위한 여러가지 정책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bc.go.kr

연락처

공보실 한성만 02-3219-504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