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아시아·유럽지역 방문
금번 방문은 상해시장과 모스크바 시장, 아스타나 시장의 초청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 방문 주요목적은 IBLAC 회의에 참가하여 외국인 투자활성화를 위한 상해시의 자구노력 벤치마킹 및 상해시와 동북아 중심도시 파트너쉽 토대를 마련하고 국제건축비엔날레(9.12~11.7)에 특별 전시되는『청계천 복원 프로젝트』를 참관, 쾌적하고 아름다운 국제도시 서울을 홍보하며 모스크바에서 “서울의 날”을 선포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한 각종 문화·경제 행사를 통하여 서울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 양도시간 실질적인 교류협력을 강화하며, 아스타나시와 신규자매결연을 통하여 양도시간 경제·문화·행정분야 등 다방면에 걸친 교류 제도화 및 자원부국인 카자흐스탄에 우리 기업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는 데 있다.
방문도시별 주요일정은 다음과 같다.
<상 해 : 10. 30 ~ 10. 31>
10.30일에는 상해시장을 예방하여 경제문화·환경 등의 여러분야에서 양도시간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할 계획이며 상해시장 국제기업가 자문회의(IBLAC)환영만찬에 참석하여 세계유수의 외국기업 CEO 및 세계 대도시 시장과의 만남을 통하여 서울의 투자환경을 홍보하고 유대를 강화할 계획이다.
10.31일에는 제 16차 IBLAC회의에 참석하여 “21세기 세계화시대의 서울과 상하이”라는 주제로
- 21세기 세계화 관문으로서의 대도시의 역할
- 세계일류도시를 위한 서울의 비전으로 청계천복원, 대중교통시스템 개편, 뉴타운 개발, 디지털 정보도시 사업 등을 소개
-공동발전을 위한 서울과 상하이의 교류협력을 내용으로 연설을 할 계획이다
<베 니 스 : 11. 1 ~11. 2>
지난 9.12일부터 베니스에서 열리고 있는 제9회 건축비엔날레 에 참관하여 물위의 도시 특별전에서 공공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한 「청계천 복원 프로젝트」를 비롯한 세계각국의 작품을 둘러보고 비엔날레 전시 관계자를 격려하며 친환경도시 서울을 홍보할 계획이다.
「청계천 복원 프로젝트」의 주요 전시내용은 청계천의 역사와 문화, 복원되는 청계천의 모습과 복원된 청계천의 미래상, 청계천 복원에 따른 서울 도심부 발전계획 등이다.
<모스크바 : 11. 3 ~11. 5>
지난 4. 23일 서울에서 있었던 양도시 우호협정 체결 10주년 기념행사에 이어 모스크바에서 “서울의 날”기념행사를 가지며 루쉬코프 모스크바시장과 전자정부 구현 지원 등을 내용으로 하는 공동발표를 통해 양도시간 실질적인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11월 3일은 “서울의 날”로 선포, 다채로운 경축공연을 개최하여 모스크바시민들에게 서울의 문화를 알림으로써 양도시간 문화이해의 폭을 넓힌다.
이외에도 11. 3일부터 5일까지 다양한 서울의 날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주요내용으로는 모스크바시 건축회관에서 열리는 건축사진전, 노뷔마네쥐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미술전, IT상품전 및 테크노마트 , 전자정부관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 아스타나 : 11. 6 ~11. 7>
카자흐스탄공화국의 수도인 아스타나시와의 신규 자매결연을 체결하고(11.6) 양도시간 경제·문화·행정 등 제반사항에 대해 실질적인 교류의 기회를 마련한다.
또한 서울소재 중소기업인과 아스타나에 소재하고 있는 현지 기업인이 참석하는 비즈니스 포럼 개최 및 기업인간 개별상담을 통하여 기술협력 및 양도시 시장진출 방안을 모색한다.
한편 이명박 서울시장은 카자흐스탄의 신흥명문인 유라시아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수여받는다. 박사학위 수여후 서울시정 운영비전 및 서울시립대와 유라시아대학간의 교류협력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연설을 하고, 유라시아대학생 10명을 서울로 초청하는 증서를 전달할 계획이다.
< 알마티 : 11. 8 ~11. 9>
알마티에서는 현지 고려인 및 상사협의회 회원 등을 초청하여 격려 간담회를 갖고, 알마티 시장을 예방하여 양도시간 협력방안에 대하여 의견을 나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국제협력과 이원형 02-6321-4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