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크로이츠펠트-야곱병(CJD) 부검진단 업무 개시

서울--(뉴스와이어)--질병관리본부(오대규 본부장)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확진 및 기초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부검의에 대한 안전보호 등을 위하여 부검센터를 설립하고 2006년 4월부터 진단업무를 시작함. 2006년 4월 21일(금) 한림대 평촌병원에서 개소식과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함.

■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부검센터를 설립하여 진단업무 개시

질병관리본부(오대규 본부장)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부검센터를 한림대 병촌병원내에 설립하고 2006년 4월부터 진단업무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동 센터는 2005년 8월에 공모를 통하여 한림대 평촌병원을 지정하고 국고 예산 3억 5천만원을 투입, 2005년 12월 시설 및 장비 설치를 완료하였으며, 시험가동을 거쳐 금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진단업무를 개시

한편,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2006년 4월 21일(금) 한림대 병촌병원에서 국내외 전문가를 초빙하여 개소식 및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

- "프리온 질환의 최신 연구 동향"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 참여

■ 부검센터 설치 배경

변종 크로이츠펠트-야곱병(vCJD, 속칭 인간광우병)이 공중보건학적으로 문제가 됨에 따라 '01년 법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음.

- '05. 2월 질병관리본부에 생물안전실험동을 설치하여 실험실 진단을 실시해 오고 있음.

그러나 동 질환은 임상 증상, 방사선 검사, 임상병리 검사, 뇌조직 생검만으로는 진단에 한계가 있으며 사망자에 대한 부검만이 유일한 확진방법임.

- '05년 일본에서 확인된 환자도 사망 후 부검을 통해 진단되었음.

'05년 부검센터을 설치키로 결정하고 한림대 평촌병원내에 생물안전 Ⅲ등급 시설을 설치하게 됨.

- 부검은 병리 전문의가 실시하여야 하므로 질병관리본부가 직접 수행이 불가능함.

- vCJD의 원인 병원체인 프리온(prion)은 전염성이 매우 높아 생물안전밀폐시설에서 취급하여야 함.

향후 전국 표본감시 의료기관이 의뢰한 의심사망자에 대한 부검진단을 실시할 계획임.

- 안전한 부검시설 설립을 통해 진단의 정확성과 부검의 보호에 만전을 기함으로써 CJD 관리 기반을 선진화할 수 있게 되었음.

웹사이트: http://www.cdc.go.kr

연락처

질병관리본부 방역과 02-380-1573~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