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부처 각종 정부위원회, ‘여성참여율 크게 미달’
반면 16개 광역자치단체 1,069개 위원회 위촉직 위원 12,226명중 여성위원은 4,313명(35.3%)으로 전년에 비해 0.5%p 증가해 목표율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장관 장하진)는 25일 국무회의에『2005년도 정부내 각종 위원회 여성참여현황 및 향후 추진계획』을 보고한 뒤 정례브리핑을 통해 조사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전체 43개 기관 가운데 소방방재청(7.2%), 문화재청(10.9%), 건설교통부(14.3%), 비상기획위원회(18.2%), 국가청렴위원회(20.0%) 등 31개 기관이 목표율 미달기관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양경찰청(50%), 국민고충처리위(50%), 국가보훈처(44.4%), 식약청(41.8%), 중앙인사위원회(40%)등 12개 기관이 목표율을 달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증감율을 기준으로 하면 국가청소년위원회(△18.2%p)와 문화재청(△10.3%p)은 전년보다 10%p이상 감소한데 반해 식약청은 가장 큰 증가율(13.2%p)을 보였다.
광역자치단체의 경우에는 전라남도가 29.5%의 참여율로 가장 저조했으며, 강원도가 40.5%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기록했다.
여성가족부는 참여율 저조기관에 대하여 자체특별 이행방안계획을 수립 추진토록 하여 위원회 여성 참여를 확대하도록 하고,
여성인적자원의 부족으로 인한 여성위원 위촉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여성인력개발계획 수립등 등 다양한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그동안 여성가족부는 국가정책결정과정에 여성의 관점과 요구를 반영하여 남녀평등적 정책을 실현하기 위하여 여성 인재 풀(pool)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각종위원회에 여성위원을 추천하는 등 여성참여 확대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향후 각 부처 홈페이지에 여성참여 현황 자료를 공개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여성가족부 개요
여성정책과 가족정책을 전담하는 정부 부처로 2001년에 설립됐다. 주요업무는 여성정책 기획 및 종합,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정책의 성별 영향 분석 평가, 가족폭력 성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여성 인력의 개발과 활용, 성 매매 방지 및 피해자 보호, 여성단체 및 국제기구와 협력 등이다. 기획조정실, 여성정책국, 청소년가족정책실, 권익증진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gef.go.kr
연락처
정책홍보관리실장 이인식 2100-6640
정책홍보팀장 박운석2100-6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