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국립국악원 일요열린 국악무대 ‘우면산자락 초록음악회’

서울--(뉴스와이어)--국립국악원(원장:김철호)은 지난 2003년부터 국립국악원이 위치한 서초동 우면산자락에 자리잡은 야외무대 별맞이터(약1,800석)에서 주5일제 여가문화의 증대를 위해 봄부터 가을까지 매월 1회 ‘일요열린 국악무대’를 마련해 왔다. ‘우면산자락의 맑은 자연속에서 펼쳐집니다...’라는 카피를 내걸고 진행한 지난 3년간 인근 서초구민 뿐만 아니라 멀리 경기도권에서도 가족 단위 관람객들, 특히 할아버지,할머니까지 동반한 3대가 함께 일요일 소풍을 나올 만큼 일반에게 편안하고도 부담없는 공연으로 자리잡아 왔다.

올해 2006년도에는 서울시내에 얼마남지 않은 그린벨트이기도 한 서초구의 자랑거리, 우면산(牛眠山)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알리고자 <우면산자락 초록음악회>라는 공연명으로 연중 총 5회의 공연을 마련한다. 우면산의 신록이 파릇파릇 봄옷으로 갈아입은 5월의 첫 일요일을 시작으로 10월까지 매월 첫번째 일요일 오후, 국립국악원과 우면산을 찾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무료 공연이다. 공연을 미리 알고 찾는 관객뿐만 아니라 우면산을 찾은 시민들도 자연스레 공연에 참여할 수 있게 열린 무대를 지향하고 있어 야외공연장 별맞이터는 자연과 함께 우리 음악을 만끽할 수 있는 더없이 여유롭고 청정한 공간감을 준다.

<우면산자락 초록음악회> 그 첫 문을 여는 5월 공연은 가족과 함께 나들이가 가장 많은 때이니만큼 봄과 가족을 테마로 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 국립국악원 소속 연주자들 가운데 가족으로 구성된 팀들의 무대와 우리 전통음악 및 창작곡 가운데 봄과 가족을 주제로 한 곡들로 선곡하였다. 국립국악원 정악단의 가야금 중견연주자 이종길이 역시 가야금을 전공한 아내와 함께 황병기 작곡의 “숲”을 가야금이중주로 선보인다. 이보다 더 멋진 부창부수(夫唱婦隨)가 있을까 싶다. 또 부창부수(夫唱婦隨)가 아니라 부창자수(父唱子隨)라고 해야 할까?... 국립국악원 무용단 이종호 지도위원은 아버지를 따라 무용을 전공한 딸, 아들과 함께 봉산탈춤 중 노장과장을 선보인다. 딸 이헌선, 아들 이석준은 모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과 무용원을 각각 졸업, 재학중인 재원들이다. 그리고 창작악단의 임은정(누나), 임규수(동생)은 각각 가야금과 피리를 전공하여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단원으로 활동 중인 젊은 연주자들로 산자락에 위치한 이 야외공연장에 어울릴 만한 류형선 작곡의 “나무가 있는 언덕”을 연주한다.

이 밖에 봄의 생동하는 기운을 담아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에게 신선한 에너지를 팍팍 안겨줄 ‘태평소능게(남도에는 시나위, 경기에는 능게가락)’로 봄을 맞이하는 첫 공연의 문을 연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이 남도민요 “봄타령”을 선사하고, 젊은 소리꾼 조주선은 어머니를 향한 그리운 마음이 절절한 강상구 작곡의 “어머니”를 부른다. 작곡가 계성원의 곡 “란을 위한 노래”는 아버지(작곡가)가 태어날 자신의 딸을 위해 만든 서정적인 작품이다.

올 한 해 국립국악원의 일요열린 국악무대 <우면산자락 초록음악회>는 자연친화적인 우리 음악회로 아직도 국악이 낯설고, 낡고, 지루하게만 느껴지는 많은 일반인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국악 프로그램을 위주로 좀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는 열린 터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기간: 5월에서 10월까지 매월 첫번째 일요일
장소: 국립국악원 별맞이터(야외공연장)
관람: 국립국악원과 우면산을 찾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습니다(무료)
공연문의: 국립국악원 02-580-3300 www.ncktpa.go.kr

웹사이트: http://www.ncktpa.go.kr

연락처

공연기획홍보팀(팀장 김태균, 박성범,배윤아,김재영,박문희,전규학)
보도자료담당 : 김재영 02-580-339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