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저소득층 ‘방과후 학습시설’ 획기적 개선대책 마련

수원--(뉴스와이어)--저소득층 자녀 및 결손가정 자녀들에게 균등한 학습여건을 제공해 교육의 양극화를 해소하고 가난의 대물림을 예방하기 위해 경기도는 저소득층 자녀의 “방과 후 학습시설”을 종합서비스 체제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저소득층 자녀들은 부모의 경제적 빈곤과 보살핌 부족 등으로 방과 후에 학원을 가거나 문화·취미활동에 참여하기 어렵고 학습능력 저하, 영양결핍, 신체발달 불균형, 사회성 부족, 정서적 불안 등의 복합적인 문제들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저소득층 가정은 부모가 늦게까지 일하는 경우가 많아 아동의 급식 및 위생관리를 방치하는 경우가 36%나 되는 등 저소득층 학부모와 자녀가 겪고 있는 다양한 어려움과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획기적인 “방과 후 학습시설 운영”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도내 전역에 저소득층 자녀가 방과 후에 학습할 수 있는 시설은 지역아동센터 340개소, 방과후 교실 172개소, 청소년공부방 151개소, 공공도서관88개소 방과후 아카데미 14개소, 위스타트 마을 7개소, 수능공부방 4개소를 포함 776개소에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또한 관리부서의 다원화로 총괄 관리부서가 없어 그동안 전체적인 현황관리 와 정보공유가 어려웠다. 이로 인해 서비스도 주로 학습공간 제공과 학습지도 기능 위주로 운영되어 저소득층 학부모 및 자녀들이 원하는 종합서비스의 제공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경기도는 방과 후 학습시설의 서비스 기능을 다양화해 저소득층 학부모와 자녀들이 만족할 수 있는 획기적인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경기도가 마련한 개선대책은 크게 “운영중인 학습시설의 서비스 질제고” 와 “학습시설 시범모텔 구축” 사업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운영중인 학습시설의 서비스 질 제고사업은 340개소의 지역아동센터와 151개소를 포함 491개소를 종합서비스 위주로 기능 전환하기로 했다.

·프로그램 분야는 외국어 학습지원 등을 위한 온라인 무료학습 콘텐츠 지원, 현장답사 등 실외 체험 활동시 차량지원을 위한 문화활동을 지원한다. ·인력지원분야는 국제결혼 이주여성 등 원어민 자원봉사 활용, 대학과 협약체결로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학점이수 인정, 교육청과 협의로 교사 자원봉사자의 근무성적 가점 및 표창 제동 등, 조리 등을 위한 공공근로자를 활용 ·학습보조 기자재 분야는 도·시군에서 기증한 PC를 업그레이드 해 PC진원, 학교도서관 등에서 발생하는 잔여 교양도서 지원 보내기”에서사업을 통해 한 학습시설 지원

·기타분야는 표준영양식단표 제공, 심리상담 등을 전문기관에 의뢰 및 취미활동 등에 대한 종합메뉴얼 무료배포, 무료 이동진료 실시, 지역기업과 시설간 결연을 맺어 체험학습을 지원한다.

또한 학습시설 시범모델 구축사업은 구축시간 및 비용절감을 위해 기존시설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으로 저소득층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구축하되, 향후 지역특성에 맞는 보급을 위해 대도시지역, 중소도시지역, 농어촌지역에 각 1개소씩 3개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시범모델 구축사업을 위해 오는 5월에 대도시지역, 중소도시지역, 농어촌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아동센터 및 청소년공부방을 1개소씩 우수모델 로 선정해 5~6월에 모델 공간조성을 할 계획이다. 또 오는 6월부터 8월까지 시범운영을 거쳐 문제점을 보완해 올해안에 모델안을 확정할 것이다. 또한 2007년부터는 저소득층 밀집지역 중 학습시설이 없는 지역을 대상으로 구축할 모델을 오는 9월중에 수립할 예정이다.

한편 올해 시범모델은 시책추진보전금 1억원을 투입해 대도시 지역과 중소도시지역, 농어촌 지역에 각각 1개소씩 구축할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방과 후 학습시설 사업이 본격 추진되면 저소득층 자녀의 학습능력 향상은 물론 부모의 방치로부터 보호와 쉼터 제공, 상대적 박탈감이 해소된다”면서 이어 “저소득층 자활촉진 및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촉진 등으로 저소득층 학부모와 자녀들이 모든 수요를 충족하면서 사회문제와 가난의 대물림을 예방하는 복합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웹사이트: http://www.gg.go.kr

연락처

경기도청 정책기획관실 031-249-2791
경기도청 공보관실 언론담당 이강석 031-249-271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