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년1/4분기 석유소비, 전년동기비 4.2% 감소
부문별로는, 수송부문(+1.1%)과 산업부문(+0.4%)의 석유소비가 증가하였으나, 수송부문의 경우, 자동차 신규 등록대수의 증가세에 비하면 실질적으로는 감소
* 자동차 신규등록대수: (05.1/4) 272,204대 → (06.1/4) 310,694천B (+14.1%)
· 경유승용차 신규등록대수 :(05.1/4) 113,789대 → (06.1/4) 124,093대 (+9.1%)
· 휘발유승용차 신규등록대수 :(05.1/4) 127,426대 → (06.1/4) 144,853대 (+13.7%)
가정상업부문(△14.8%), 발전부문(△32.9%)은 난방용 석유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비교적 큰폭으로 감소
< 감소유종 >
◆ 휘발유 : 자동차 등록대수의 증가에도 불구, 전년동기 대비 약간 감소(Δ0.1%)
* 휘발유소비 : (05.1/4) 14,279천B → (06.1/4) 14,270천B (Δ0.1%)
◆ 등유 : 난방용 등유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26.2% 큰폭 감소
* 가정상업부문 등유소비 : (05.1/4) 15,965천B → (06.1/4) 11,718천B (Δ26.6%)
◆ LPG : 수송용 및 난방용 수요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2.6% 감소(부탄 Δ0.3%, 프로판 Δ5.0%)
* 수송부분 LPG소비 : (05.1/4) 10,327천B → (06.1/4) 10,290천B (Δ0.5%)
* 가정상업부문 LPG소비 : (05.1/4) 8,468천B → (06.1/4) 8,031천B (Δ5.2%)
◆ B-C유 : 고유가에 따른 산업용·발전용 B-C유 수요의 LNG 대체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13.7% 감소
* 산업용 B-C유 소비 : (05.1/4) 11,027천B → (06.1/4) 10,152천B (Δ7.9%)
* 발전용 B-C유 소비 : (05.1/4) 11,628천B → (06.1/4) 7,736천B (Δ33.5%)
< 증가유종 >
◆ 경유 : 산업용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대비 3.1% 증가
* 산업부문 경유소비 : (05.1/4) 4,919천B → (06.1/4) 5,538천B (+12.6%)
◆ 납사 : 석유화학업종의 수요 지속으로 0.8% 증가
* 산업부문 납사소비 : (05.1/4) 69,869천B → (06.1/4) 70,435천B (0.8%)
‘06.3월중 석유소비는 총 65.5백만 배럴(전년동월비 8.9% 감소)
‘06.1/4분기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전년동기대비 0.2% 감소한 57.6백만 배럴이며, 금액은 전년동기대비 34.8% 증가한 3,716.0백만불을 기록
수출단가는 ‘05.1/4분기 47.7($/B)에서 ’06.1/4분기 64.50($/B)로 34.8% 상승하여 수출금액이 크게 증가
* 1/4분기 석유제품 수출금액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품목 중 MTI 3단위 기준 5위를 기록
(1위 반도체, 2위 자동차, 3위 무선통신기기, 4위 선박)
‘06.3월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19.8백만배럴(3.0% 증가), 수출금액은 1,291백만불(23.0% 증가)
'06.1/4분기 석유제품 수입물량은 전년동월대비 2.5% 감소한 42백만배럴, 수입금액은 석유제품가격 상승에 따라 19.2% 증가한 2,056.3백만불을 기록
‘06.3월중 석유제품 수입물량은 13.8백만배럴(16.6% 감소), 수입금액은 689.5백만불(5.3% 증가)
'06.1/4분기 원유도입량은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한 218.6백만배럴, 도입금액은 44.3% 증가한 12,900백만불을 기록
그러나, ‘06.3월중 원유도입량은 69.3백만배럴로 전년동월대비14.7% 감소하였으며, 도입금액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13.4% 증가한 4,109백만불을 기록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산업자원부 홍보담당관실 이춘호 02-2110-5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