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허스님(운암 김성숙)기념사업회, 석가탄신일에 후원회 결성 홍보
차후에는 이와 같은 홍보를 통한 후원회원을 모집하여 모금한 후원금을 다음과 같은 주요사업에 사용한다.
- 국내외 불교계 독립운동 유적 발굴 및 공원조성 사업
- 태허스님(운암 김성숙)선생에 관한 사료 수집, 사상연구, 발행 및 반포
- 태허스님(운암 김성숙)선생의 사적지와 운암 기념관 관련 건조물의 보존 및 관리 사업
- 독립유공자 후손 및 불자 자녀 장학사업
- 태허스님(운암 김성숙)선생의 항일독립운동 홍보사업
- 정기 또는 비정기 간행물 및 회보 발행
- 한.중 IT 관련업체 교류전(중화인민공화국 국가계획발전위원회 정보센터(國家信息中心) 후원
- 운암 테마파크 건립(호국 불교관, 사찰 문화체험 프로그램 운영, 운암 독립기념관, 봉선 수련관, 시민공원, 유스호스텔, 일제시대 배경 세트장 등)을 통한 부대사업 수입금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는 일
기념사업회는 이에 앞서 지난 3월 3일 경상남도 합천 ‘해인사’(주지 현응)에서 대한불교조계종 제11대 종정예하인 도림 법전 대종사 스님을 예방하고 후원회 모집에 대한 불자 및 종단의 관심을 부탁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종정 법전 대종사 스님은 종단차원에서 불교계 전체가 동참하는 ‘태허 스님(운암 김성숙)’ 후원회 결성을 강조했다.
님 웨일즈의 소설 <아리랑>에 등장하는 ‘금강산에서 온 붉은 승려’(김충창)를 지칭하는 운암(雲巖) 김성숙(金星淑, 1898~1969)은 평안북도 철산군에서 가난한 농가의 아들로 태어나 18세 때 용문사로 출가한 후 봉선사로 옮겨 부처님의 가르침(불교 교리)에 근거한 중도사상을 확립했으며 스님 신분으로는 유일하게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냈다.
젊어서는 항일무장투쟁으로 일관했고, 해방 후에는 반이승만 정권운동과 좌우합작 및 통일운동을, 5.16이후에는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길을 걸으신 독립투사이자 민족지도자, 실천적 종교인이었던 운암은 끊임없는 정권의 회유와 협박에 굴하지 않고 신민당 창당의 지도위원으로 참여하여 야당의 지도자로 민주세력을 결집했다. 김영삼, 김대중 전대통령은 운암의 정치적 후배이기도 하다.
이처럼 해방 후 극심한 좌우갈등과 이념대립의 벽을 넘어 갈라진 조국의 통일을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설자리를 잃고 정치적 낭인으로 떠돌다 1969년 70세의 나이에 외롭고 쓸쓸하게 생을 마감했다. 1982년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건국훈장 국민장을 추서하였다.
잊혀진 역사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태허스님(운암 김성숙)기념사업회는 운암 선생 기념관 건립, 독립유공자 후손 장학사업, 불교계 독립운동 유적지 발굴 및 공원 조성사업, 독립유공자 및 불자빈민 지원사업 등의 주요 사업을 불교계, 국가보훈처, 각 기업체 등과 연계해 추진할 예정이다.
태허스님(운암 김성숙) 후원회에 동참하는 불자 기업체는 기업회원, 일반 불자는 개인회원으로 월 1만원, 또는 일시불로 연 10만원을 보시하면 된다. 후원금 입금 은행정보는 국민은행 050701-04-013637 운암김성숙기념사업회(민성진)로 하면 된다.
회원 가입을 원하시는 업체나 개인은 사업회 홈페이지(www.kimsungsuk.or.kr)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아 직접 회원가입신청서(사무국으로 전화하시면 우송)를 작성 팩스로 접수하거나 각 사찰에 비치되어 있는 가입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된다.
웹사이트: http://www.kimsungsuk.or.kr
연락처
(사)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홍보팀 이성구 과장 02-391-9100, 018-328-9096
이 보도자료는 운암 김성숙 기념사업회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