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이상 고령층, 극고온에 취약...32℃ 이상부터 1℃ 증가할 때 초과 사망 9명 발생

6대 도시에서 13년(1992~2004) 동안 하계 기간의 65세 이상 사망률 분포. 6대 도시 전체에서 동일하게 1994년 하계 때 65세 이상 고령층의 인구 대비 사망률이 가장 높았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서울에서 1994년 하계 기온 변화 및 평년기온과 편차. 1994년은 평년 하계기간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더 높은 기온경향을 나타 내고 있었으며 7월 중순에서 하순의 시기에는 이런 경향이 가장 뚜렷하였다. 아래 그림은 1994년 기온값과 평년값간의 편차를 나타내고 있으며 편차의 최대값은 7월 24일에 8.6℃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1994년 서울의 하계 기온은 평년(1971~2000)의 하계 기온보다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7월 중순에서 하순의 시기에는 최고 8.6℃까지 높았다. 또 일 최고기온이 32℃ 이상을 지속한 7월 15일부터 8월 9일까지 일 최저기온이 25℃ 이상을 유지한 열대야 현상은 7월 18일부터 7월 31일 사이에 나타났다. 특히 당시 일 사망자 최고치는 180명(서울시 13년간 일 평균 사망자수 103명)으로 약 75%의 초과 사망률을 보였다.
1994년 하계 92일 동안 일 최고기온이 평년 하계 동안 일 최고기온의 평년값 중 최고치인 31.4℃ 보다 높은 날이 47일이었으며, 31.4℃부터 평년기온 범위 내에서 발생한 사망자수를 초과하기 시작하여 1℃ 증가할 때 초과 사망자는 약 9명으로 나타났다. 35.7℃에서는 일 사망자가 25% 증가한 123명이었으며, 37.6℃에서는 50% 증가한 148명으로 나타나 생체 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임계온도가 약 32℃임을 알 수 있었다.
기상청은 기상과 인체의 조건에 따라 실제로 느끼는 인지온도(認知溫度)를 지역별로 예측하여 고령층의 주요 질병(호흡계, 심장계 질환)에 의한 사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고온-건강 예보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웹사이트: http://www.kma.go.kr
연락처
응용기상연구실 박일수 실장 02) 846-2850
기상청 정책홍보담당관실 02-2181-035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