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DMZ 평화생명동산 기공식
(1) 때와 곳 : 2006년 5월 10일 오후 2시,
인제군 서화면 서화1리 점고개 현장
(2) 주요 내용 :
○ 인사 : 도지사, 군수
○ 축사 : 홍성인 (재일본 대한민국민단 중앙본부 고문)
수경스님 (불교환경연대 상임대표)
○ 나눔과수원 식수행사 (나눔과수원에 대해서는 별도 설명자료 붙임)
○ 평화의 비상 (비둘기 날리기)
○ 지경다지기 민요공연
○ 특히 소개할 분
· 이부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 허화평 장군 (40년 전 현지 수색중대장)
· 명진스님 (민족21 발행인)
(3) 기공식의 특징
○ 평화, 생명운동의 정신에 걸맞게 모든 것을 소박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준비
○ 장승공원은 현지주민(서화리)이 5월28부터 30일까지 2박3일간 경남 고성 장승아카데미의 현지 교육, 지도 아래 직접 만들어 조성한 것임
○ 걸개그림도 인제군 미술협회의 지도 아래 인제군내 초등학교학생들이 평화, 생명, DMZ를 생각하며 자기의 꿈과 뜻을 표현한 것임
☞ 이는 DMZ 평화생명동산 조성사업이 관의 주도로만 진행되는 단순한 토목공사나 표출문화를 넘어 주민들이 스스로, 함께 참여해야 뿌리를 내리고 확산될 수 있다는 추진위와 도, 군의 처음부터의 생각이 반영된 것임.
2. 한국 DMZ 평화생명동산의 대강(大綱)
(1) 취지
○ 내금강 직행로, 한반도 식물자원의 남북, 동서 점이지대의 DMZ 주변 및 민통선지역 일원(인제군 서화면 가전리 일대)에 자연생태공원, 평화공원, 생명동산을 조성하여 전쟁과 단절의 DMZ를 평화와 생명의 공간으로 조성하여
○ DMZ를 민족적이고 인류적인 평화, 생명운동의 구체적 실현지(체험, 교육, 소통)로 기능하게 하고
○ DMZ의 개발에 있어서 “보전형 전범(Model)"을 실천하는 것임
(2) 방향과 특징
○ 해외 평화운동, 생명운동, 시민운동과의 구체적 교류, 협력, 연대를 기본사업으로 한다.
○ 특히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일본, 중국과의 교류, 협력사업을 구체적으로 조직한다.
○ 시민사회, 관, 군과의 유기적 협의체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한다.
(3) 개발의 원칙
○ 현지의 모든 지형, 구조물, 식생 등은 원래대로 보존하는 것이 원칙이다. (변경해야 할 곳은 사전, 사후 환경영향평가를 한다.)
○ 건축물은 “생명에 이로운 원칙”을 따른다. 따라서 이번에 착공하는 건물도 소재는 대부분 흙ㆍ나무ㆍ돌이고, 에너지도 자연 재생에너지를 적극 도입하고, 지붕ㆍ옥상도 전부 녹색식물이 자라도록 설계했음.
(4) 사업개요
○ 점고개 지구 - 연구ㆍ교육ㆍ기반시설
- 부지면적 124,210㎡(약 37,639평)
- 건축 및 시설 연면적 3,304㎡(약 1,001평)
- 교육관, 연구동, 명상원, 전시관, 숙소(100명), 야외광장, 주차장, 초지ㆍ산지ㆍ습지생태
○ 가전리 지구 - DMZ 자연생태공원
- 예정지 면적 : 977,851㎡(약 296,318평)
- 탐방로 4,942m, 목제탐방로 3,250m, 생태 및 수변관망대 2,740㎡
○ 사업기간 : 2006년 5월 ~ 2008년 12월
○ 사업비 : 95억원
3. 붙임자료
(1) 나눔과수원운동
(2) 설계자 소개
(3) 초기 제안자 명단
(4) 한국 DMZ 평화생명동산 조감도
붙 임 자 료
(1) 나눔과수원운동
나눔과수원은 누구든지 한 두 그루씩 묘목을 기증하고 함께 심은 후에, 마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가꾸어 누구에게나 개방하여 마음대로 따먹을 수 있도록 하는 과수원임. 과수원 입구에는 이런 팻말을 써 붙일 것임.
① 누구든지 따 가십시오. ② 자기보다 가난한 이를 생각해 5개만 더 따 가십시오. 나눔과수원 운동은 자발적인 참여와 자율적인 가꿈과 양심적인 나눔을 배우고 실천하는 작은 평화운동이 될 것임.
(2)설계자 소개 : (주)종합건축사무소 이로재, 대표 승효상
1952년생.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비엔나 공과대학에서 수학했다.
15년간의 김수근 문하를 거쳐 1989년 그 자신의 사무소인 이로재를 개설한 그는 한국 건축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4.3그룹의 일원이었으며
새로운 건축교육을 모색하고자 설립된 서울건축학교의 운영위원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빈자의 미학' (1996)과 '지혜의 도시/지혜의건축'(1999) 등이 있으며 1998년 북 런던대학의 객원교수를 역임한 후 현재 서울대학교 등에 출강하였다.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빈자의 미학'이라는 주제를 그의 건축의 중심에 두고 작업하고 있으며, 수졸당(1993), 수백당(1998), 웰콤시티(2000)등으로 여러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파주출판 도시의 코디네이터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지휘하고 있는 그에게 미국건축가 협회는 Honorary Fellowship을 수여하였으며, 2002년 건축가로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의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었다.
(3) 초기 제안자 명단
권근술 (남북 어린이 어깨동무 이사장)
김지하 (시인)
김진선 (강원도지사)
민병석 (전 체코대사)
오정희 (소설가)
유재천 (한림대학교 교수)
이삼열 (숭실대 교수)
이승호 (전 인제군수)
정성헌 (남북강원도협력협회 이사장)
조 형 (이화여대 교수)
연락처
(200-041) 강원도 춘천시 중앙로1가 9번지 공영빌딩 306호
전화 033-253-2012, 253-3199 팩스 033-249-2927
담당자: 한상룡 016-818-4515, 이메일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한국 DMZ 평화생명동산 추진위원회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