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쥐 털진드기가 옮기는 `쯔쯔가무시증' 감염 주의!

뉴스 제공
2004-11-04 16:45
과천--(뉴스와이어)--질병관리본부는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에 물려서 발생하는 제3군 법정전염병인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이 예년에 비해서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감염 주의를 당부하고 전국 보건기관에 예방활동을 강화할 것을 지시하였다.
○ 감염 위험군(농부, 야외작업자, 군인)은 예방 수칙을 준수
○ 의료인은 발열 환자 진료 시 쯔쯔가무시증 확인 및 신고 철저

최근 5년간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 추이는 2001년 2,638명이 발생한 이후 2년 연속 감소하였으나, '04년 들어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0월말 현재 1,525명의 환자가 신고 되어 전년 동기 대비 123.6%가 증가하였음. 시·도별로는 경상남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의 환자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환자 발생이 증가한 이유는 여름과 가을의 기온이 예년에 비해 높아서 쯔쯔가무시증을 사람에게 전파하는 털진드기의 활동이 활발해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온대지방인 우리나라는 가을철에 털진드기의 번식이 가장 활발하고 겨울이 되어 추워지면 동면을 하는데 활동 주기는 토양의 온도와 습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올해의 경우 여름철에 이상 기온이 계속되었으며, 9월의 태풍과 9~10월의 높은 기온의 영향으로 털진드기의 번식이 활발해진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본부는 11월 들어 기온이 다소 하강하더라도 토양의 온도는 천천히 떨어지게 되고, 비닐하우스는 높은 온도가 계속되기 때문에 11월말~12월초까지 환자 발생이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였다.쯔쯔가무시증에 감염될 위험이 있는 경우는 털진드기가 기생하는 들쥐가 서식하는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은 사람이다.
- 우리나라는 야산에 있는 밭 주변의 관목 숲이 위험 환경임
- 따라서 밭일을 하는 농부와 야외작업자, 군인들이 위험 집단에 해당함

쯔쯔가무시증 감염 예방을 위한 주의 수칙은 다음과 같다.

긴 팔 긴 바지 착용
밭일 등 야외 작업을 할 때 반드시 긴 바지, 긴 팔 옷을 입고 바짓단은 양말 속에 넣어 털진드기의 유충이 몸으로 기어오르지 못하게 하여야 한다

벌레 기피제
작업을 하기 전에 옷 위에 벌레 기피제를 뿌려서 털진드기의 유충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여야 한다.

따뜻한 물에 샤워
몸에 기어오른 털진드기는 한 동안 몸에 붙어 있기 때문에 작업을 마친 후에는 따뜻한 물과 비누를 이용한 샤워를 해서 털진드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작업복 세척
작업복은 그대로 다시 입지 말고 세척을 해서 옷에 붙어 있는 털진드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조기 진단과 치료
쯔쯔가무시증은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면 쉽게 치료가 되지만 단순 감기약으로는 낫지 않기 때문에 야외 작업 후 열이 나면 반드시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방문하여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쯔쯔가무시증의 잠복기 : 8~11일
※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 치사율 : 1~30%

쯔쯔가무시증 홍보 및 교육자료
쯔쯔가무시증은 어떤 질병이고 전파방법은 어떻습니까 ?
쯔쯔가무시증은 리케치아의 일종인 “리케치아 쯔쯔가무시”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털 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어서 걸리게 됩니다.

쯔쯔가무시증의 증상은 어떻습니까 ?
감염 후 보통 6일~18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에 급성으로 발생하여 두통, 발열, 오한, 발진 근육통 등이 나타나고 1cm 크기의 피부반점이 생겨서 수일 만에 상처(가피)를 형성합니다.
기관지염, 폐렴, 심근염이 생길 수도 있으며 수막염 증세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일부 환자는 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없는 경우가 있고, 열이 나는 기간이 짧으면 피부발진이 많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쯔쯔가무시증에 걸리기 쉬운 경우는 어떤 사람들입니까 ?
농촌에 거주하는 사람들 즉, 논일이나 밭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발병하기 쉽습니다.

쯔쯔가무시증 예방을 위한 사항
○ 유행성 지역의 관목 숲이나 유행지역에 가는 것을 피할 것
○ 들쥐 등과 접촉하는 환경을 피할 것
○ 밭에서 일할 때에는 되도록 긴 옷을 입을 것
○ 야외활동 후 귀가 시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목욕을 함
○ 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있거나 피부발진이 있으면서 급성발열증상이 있으면 쯔쯔가무시증을 의심하고 서둘러 치료를 받읍시다.

연락처

질병관리본부 380-1573

이 보도자료는 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