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한증 환자 10명 중 9명,심한 땀으로 사회 생활 및 학업에 어려움 겪어

서울--(뉴스와이어)--다한증(多汗症) 환자 10명 중 9명이 심한 땀 때문에 사회생활 및 학업에 상당한 지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1%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 가는 것을 꺼린 적이 있으며, 40%는 꺼리지는 않지만 불편함을 느낀다고 답해 다한증을 앓고 있는 대다수의 환자가 땀으로 인해 대인관계 유지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다한증으로 인해 가장 꺼려지는 장소를 묻는 질문에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30%), 극장 및 엘리베이터 등 밀폐된 장소(12%)를 꼽아 일상생활에서도 불편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사실은 신촌 세브란스 병원 다한증 클리닉 김원옥 교수가 다한증 클리닉을 찾아 치료 받고 있는 10대부터 40대 남녀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밝혀졌다.

특히 응답자의 50%가 평상시 보다 심리적으로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가장 많은 땀을 흘린다고 답해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 시기나 입사면접 등 긴장된 상황을 자주 접하게 되는 시기에 특히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다한증 환자의 60%는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부모나 가까운 친지가 다한증이 있을 경우 자녀가 땀이 많다면 세심한 주의와 치료가 요구된다.

땀이 가장 많이 나는 부위를 물어본 결과 손(28%), 발(19%), 겨드랑이(18%), 머리(16%) 순이었고, 악수 또는 키보드 사용, 필기 등에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고 있어 직장생활 및 학업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가지 재미있는 결과라면, 젊은 층의 최대 관심사인 이성교제에서도 심한 땀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 전체의 53%가 이성교제 시 지나치게 나는 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으며, 52%의 응답자는 이성친구가 다한증이 있다면 사귈 생각이 없다고 응답했다.

땀이 없어지면 가장 해보고 싶은 것을 묻는 질문에서 이성친구의 손을 잡고 길거리를 걸어보고 싶다거나 자신 있게 악수하고 싶다는 답이 압도적으로 많아 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

다한증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1차 치료제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를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며,상태가 호전되지 않을 경우 먹는 약, 보톨리눔 톡신 주사, 알코올에 의한 교감신경절차단 등을 하게 된다. 다한증이 심하거나 생업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신경절제술 등의 외과적 수술을 할 수 있다.

신촌 세브란스병원 다한증 클리닉 김원옥 교수는 “흔히 땀을 많이 흘린다고 하면 ‘체질’이라는 생각으로 그냥 방치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며 “다한증은 생명을 좌우하는 심각한 질환은 아니지만, 사회생활이나 대인관계, 특히 청소년기의 학업에도 치명적인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physiogel.co.kr

연락처

신촌 세브란스병원 다한증 클리닉 김원옥 교수 02-2278-5770
홍보대행사 KPR 김나경 대리 (2-3406-2243 016-285-898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