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 알긴산으로 중금속 세정용 화장품 개발

부산--(뉴스와이어)--국립수산과학원은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알긴산을 이용하여 『중금속 세정용 화장품』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2004년부터 연구를 수행하여 올해 5월에 특허를 출원하였고 현재, 화장품생산기업인 (주)해피코스메틱이 기술을 이전받아서 제품의 소비자 반응도를 조사중에 있으며, 6월 이후 본격적으로 국내 및 해외시장에 시판 될 예정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된 각종 중금속은 직접적으로 직업병을 유발함은 물론 간접적으로는 식품, 수질, 대기 및 토양 등을 오염시켜 급·만성적으로 인체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

특히, 대기 중에 존재하는 공장 및 자동차 배출가스, 황사 등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은 도심지역과 산업단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피부에 오염을 일으키고 있으며 중금속 허용기준을 초과한 화장품이나 귀금속, 손목시계, 안경테, 클립, 지퍼 등 금속용품에 의해서도 중금속이 피부에 오염될 수 있다. 중금속의 피부오염은 피부염과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등 피부의 안전에 심각한 위해요인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피부에 존재하는 중금속을 흡착 제거할 수 있는 피부 세정용 화장품의 사용이 요청되고 있다.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의 중금속 제거기술은 침전, 응집, 이온교환, 용매추출, 여과, 증발 등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인체를 대상으로 한 중금속 제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생체를 대상으로 한 중금속 제거 시험으로는 인체내의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긴산, 키토산, 식이섬유 등을 이용한 사례가 있으나 인체피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생명공학연구단 박희연박사 연구팀에서는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알긴산을 다양한 방법으로 개량하여 중금속 흡착력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 기존 알긴산보다 35%이상 중금속흡착력이 향상된 알긴산을 생산하는 데에 성공하였으며 이 알긴산을 세정용 화장품에 적용하여 기존의 제품보다 중금속 세정기능이 우수한 화장품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중금속 세정용 화장품은 대기오염이 심각한 도심지역이나 황사가 다량 발생하는 계절에 인기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황사 다발국가인 중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에도 유망하리라고 생각된다. 또한 동 기술이 실용화될 경우, 화장품 생산 및 해조류 소비촉진 효과 등 직접적인 기대효과만을 계산하더라도 연간 720억원의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며 피부 중금속 오염 제거에 따른 국민 보건향상 등 간접적인 효과를 고려한다면 더욱 큰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수산과학원 개요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해양수산분야를 연구하는 유일한 국립연구기관으로 해외 및 연근해 어장 개척, 해양환경조사, 어구어법 개발, 자원조성 및 관리, 양식기술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nifs.go.kr/main.do

연락처

수산생명과학본부 생명공학연구단 단장 정재훈 연구관 박희연 051-720-245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