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건설 시동
공고내용은 건축공사 主공종으로서 조달청을 통해 일괄 발주하여 공개경쟁 입찰을 실시하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업체 의무공동도급제를 도입하여 지역 업체의 공사참여비율을 공사금액의 40%이상 의무화 하도록 함으로써 견실한 지역건설업체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입찰방법은 전자입찰방식으로 하며, 6월 10일부터 6월 14일까지 투찰을 실시, 공사업체를 선정하고 센터 건립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건립사업은 ‘04년 과학기술부의 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으로 선정, ‘04년부터 ’08년까지 240억원(국비120, 시비90, 민자30)을 투입하여 첨단과학산업단지내에 부지 1만평, 연면적 3천평 규모(지하1층, 지상12층)로 건립될 예정이다.
이센터는 산·학·연간 활발한 교류여건을 조성하고 국내외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치와 정주를 지원하기 위한 핵심인프라로서, 연구기관간 정보 교류 및 연구개발성과를 홍보하는 한편 첨단과학산업단지내에서 공동 수행중인 연구인력에게 거주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시설이다.
이센터내 공간은 연구개발 정보교류를 위한 학술토론세미나실과 국제회의실, 전시실, 국내외 과학기술인이 국제회의나 심포지움 참석차 방문시 체류시설인 게스트룸(Guest Room)과 중장기 연구인력의 안정적인 거주를 위한 임대숙소로 활용 배치할 계획이다.
그동안 우리지역의 산·학·연의 각 연구기관(199개)들은 여러 지역에 산재해 있으면서 개별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각 기관간 교류를 통해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시설이 없어 연구개발의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가 없었다.
※ 지역연구기관 현황
- 정부출연연구기관 : 4 (광주과학기술원, ETRI광통신연구센터, 생기원광주연구센터등)
- 지자체출연연구기관 : 1 (광주테크노파크)
- 전문생산기술연구소 : 1 (한국광기술원)
- 대학부설연구기관 : 44 (전남대 등)
- 기업부설연구기관 : 149 (금호생명과학연구소등 149개)
또한, 지역내 대규모 과학관련 행사개최시 저명한 과학기술인들을 위한 게스트하우스(Guest House)와 공동 연구수행을 위한 타 지역 과학기술인들의 장단기 거주공간이 부족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시는 2004년 지방과학기술진흥사업 일환으로 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건립사업을 정부에 건의하고 끈질긴 설득을 통해 국비지원을 이끌어냄으로써 지난해 건축현상공모와 기본·실시설계를 거쳐 건설입찰공고에 이르렀다.
최현주 市경제통상국장은 “이센터가 완공되면 첨단과학산업단지내 연구기관간 활발한 정보교환 등으로 단지내 연구개발 역량이 강화되고 국내외 우수 연구인력의 유치를 통한 과학기술 혁신역량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성과물 홍보 등을 통한 과학문화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청 개요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윤장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가고 있다. 더불어 사는 광주, 사람중심 생명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광주광역시청 과학기술과 과장 양정식 062-613-3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