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조2년때부터 자란 550년된 국내 최고 ‘철쭉’ 나무발견

대전--(뉴스와이어)--산림청(서승진 청장)은 백두대간에서 약 550년(국내 最古) 된 철쭉나무를 발견하여 철쭉 노거수(老巨樹)를 포함한 군락지 33㏊를 ‘산림유전자원보호림’ 및 ‘보호수’로 지정하여 적극 보호하기로 하였다.

백두대간 마루금을 따라 태백산에서 소백산을 향하여 가다가 도래기재를 지나 옥돌봉(1,242m) 아래에 이르면 한 폭의 그림처럼 장관을 이루며 펼쳐진 철쭉나무 숲을 만나게 된다. 이 중에서 우리의 눈길을 끄는 것은 550년이라는 세월의 무게를 견뎌온 철쭉나무 한 그루이다.

국립수목원에서 철쭉의 나이를 측정한 결과 550년(오차범위 ±30년) 된 것으로 판명된 이 철쭉나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키 5m, 뿌리부문의 둘레가 105㎝, 가지 폭이 8.3m에 이르며, 세 갈래의 가지는 그 둘레가 각각 64㎝, 52㎝, 45.4㎝로서 인공미가 전혀 가미되지 않아 자연그대로의 신비로움과 경이로움을 자아낸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정선군 반론산에 있는 200년 된 철쭉(천연기념물 제348호)이 가장 크고 오래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2005년 8월 영남알프스인 가지산 철쭉이 천연기념물 제462호로 지정되면서 최고령 나이를 갱신(450년)하였는데 이번에 다시 최고령 나이를 갱신하게 되었다. 이 철쭉이 새싹을 틔울 당시(1456년, 세조 2년)는 성삼문 등이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죽임을 당하는 ‘사육신사건’이 일어났던 해이며, 서양에서는 구텐베르크가 최초로 인쇄술을 개발하여 성서를 찍어내던 시대이다.

철쭉은 주목, 구상나무, 분비나무 등과 더불어 고산지대에 자라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이 중에 유일한 낙엽활엽수이자 화목류(花木類)이다. 따라서 이번의 철쭉나무 발견은 국내 최고령 철쭉이라는 의미 외에도 백두대간이 우리나라 국토의 생태 축으로서 생태통로(eco-corridor)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태백산과 소백산의 철쭉 군락지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산림청은 철쭉 노거수(老巨樹)를 포함하여 철쭉나무 군락 보호를 위해 ’06. 5. 23. 이 일대 백두대간 능선을 중심으로 33㏊(약 10만평)을 ‘산림유전자원보호림’ 및 ‘보호수’로 지정·고시하였다. 앞으로 울타리를 설치하고 철쭉이 자라는데 방해가 되는 주변 나무 제거, 뿌리경쟁 회피 등을 통해 후계림을 적극 조성해 나가는 한편 하층에 분포하는 처녀치마, 각시원추리, 노랑제비꽃 등의 초본식생도 적극 보호해 나갈 계획이다.

국내 최고령(550년) 철쭉나무
- 경북 봉화군 춘양면 -

□ 현 황
o 위 치 : 경북 봉화군 춘양면 우구치리 산1-1번지
- 백두대간 도래기재~옥돌봉(1,242m)구간 능선(해발 1,085m)

o 크 기
- 근원경 : 33.4cm(뿌리둘레 105cm)
- 나무높이 : 5m
- 가지 폭 : 좌우 8.3m, 상하 7.8m
- 가지 둘레(3) : 64cm, 52cm, 45.4cm

o 수 령 : 약 550년(±30년)
(주변 철쭉나무 연륜 폭을 현미경으로 분석 : 국립수목원)

□ 특 징
o 대경목으로 수관 3개가 뿌리 가까이서 갈라져 수형이 수려하고, 가지 등의 훼손이나 인공미가 전혀 가미되지 않은 자연 상태

o 군락 면적이 약 0.5㏊로 후계수 70여 그루(12~30cm)가 자라고 주변에 신갈나무, 당단풍, 물푸레나무, 층층나무 등이 혼생

- 신갈나무 등에 의해 철쭉군락이 피압되어 관리가 필요

o 도래기재에서 옥돌봉까지 능선을 따라 철쭉, 산철쭉, 진달래 군락 및 하층식생으로 처녀치마, 각시원추리, 노랑제비꽃 등이 분포

□ 의 의
o 국내 최고령(550년)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정선 반론산(200년), 경남 가지산(100~450년) 철쭉보다 더 오래되었음

o 백두대간에서 발견된 가장 큰 철쭉나무로 백두대간이 우리 국토의 생태축으로서 생태통로(eco-corridor)의 역할
- 소백산과 태백산의 철쭉 군락지를 연결하는 고리
※ 철쭉은 주목, 구상나무, 분비나무 등과 함께 고산지대에 자라는 대표적인 수종으로 이 중에 유일한 낙엽활엽수, 화목류(花木類)

□ 보전대책
o ‘산림유전자원보호림’ 및 ‘보호수’로 지정·고시(´06.5.23.)
- 도래기재~옥돌봉 능선을 중심으로 좌우 계곡부까지 33㏊
- 노거수 보호를 위한 보호수 표지판 및 울타리 설치

o 주변 신갈나무 등 상층목 제거, 뿌리경쟁 회피 등 적극 관리를 통해 철쭉 노거수 및 군락 보호 및 후계수 조성 촉진

o 장기적으로 천연기념물 지정을 검토 추진

< 참고 >

국내 천연기념물 “철쭉나무”

철쭉나무(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서 주로 활엽수림의 관목층을 이루는 것이 보통이다. 대체로 높이 2~3m, 팔목 굵기 정도이며, 그루터기 부근에서 가지가 여러 개로 갈라져 자란다.

□ 가지산 철쭉 군락지(천연기념물 제462호, 2005. 8. 19.)
o 위 치 : 울주군, 밀양시, 청도군 일원 981,850㎡
o 수 고 : 3.5~6.5m
o 수관 폭 : 6~10m
o 수 령 : 100~450년

□ 반론산 철쭉(천연기념물 제348호, 1986. 4. 17.)
o 위 치 : 강원도 정선군 북면 여량리 산12번지 일대 96,450㎡
o 수 고 : 4.39m
o 수관 폭 : 5.7~5.2mm
o 뿌리목 둘레 : 139cm
o 수 령 : 약 200년

산림청 개요
1967년에 설립된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의 외청이다. 산림의 보호 육성, 산림자원의 증식, 우량종묘 개발 및 보급, 산림사고 및 병충해 방지, 야생조수의 보호, 목재 수급의 조정, 해외산림자원 개발 및 임산물 수출입 등의 업무를 관할한다. 조직은 청장, 차장과 임업정책국, 국유림관리국, 사유림지원국, 기획관리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임업연구원, 국립수목원, 산림항공관리소와 5개 지방산림관리청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forest.go.kr

연락처

산림환경보호과 김성륜 과장 042-481-424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