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월성해자 발굴현장 공개
월성 발굴조사는 일본인들이 성벽 일부를 절개(大正5년<1916>, 朝鮮古蹟圖譜 三冊)한 이후에 1979년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전신인 문화재관리국 경주고적발굴조사단이 <동문지東門址 발굴조사>를 진행하다가 중단되었다. 이후 1984년에 성벽 외곽을 따라 시굴조사가 이루어졌고 1985년부터 지금까지 22년째 해자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현장설명회에서는 1999년부터 진행된 석빙고 북서편의 석축해자(4호)를 공개한다.
석축해자(4호)는 동쪽에 입수(入水)시설 서쪽에 출수(出水)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모두 3차례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밝혀졌다. 즉, 가장 외곽에 천석(川石강돌)으로 3~5단 가량 쌓은 4호-1차 해자, 이후 성벽 쪽에 할석(割石 깬돌)으로 쌓은 4호-2차 해자, 그보다 성벽 쪽으로 더 가까이 천석과 할석을 함께 쌓은 4호-3차 해자가 조사되었다. 석축해자 보다 이른시기에는 수혈(竪穴)해자가 존재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청동기시대 주거지 1기가 확인되었고, 3차 해자 내부에서 사람의 발자국(25cm×10cm)으로 보이는 흔적이 다수 발견되었다.
해자의 내부는 뻘흙으로 채워져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유물들이 보존될 수 있었다. 현재까지 20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토기와 기와를 비롯하여 목재 · 칠기 · 조개껍질 · 동물뼈와 같은 유기물도 포함되어 있다.
이번에 공개되는 해자는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되어 탐방객들에게 서비스될 계획이며, 앞으로 발굴유물의 보존처리가 완료되어 보고서가 간행되고 전시가 이루어진다면 당시의 생생한 삶의 흔적을 느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윤형원, 정태은 054-777-8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