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샘, 자체 개발 친환경 소재‘키친바흐’에 적용
이번에 한샘이 개발한 친환경 특수표면재 ‘나노페트(Nanopet)’는 기존에 사용하던 소재에 비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가공성이나 내구성에 있어서도 기존의 일반 가구표면재보다 훨씬 탁월한 소재로 알려졌다. 한샘은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특수표면재 ‘나노페트’를 최근 출시한 키친바흐 보급형 모델에 적용하였고. 아울러 키친바흐 전 제품의 몸통(도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표면재로 사용하고 있는 친환경 특수표면재 ‘나노포일(NanoFoil)’과 ‘나노페트’를 특허청에 특허를 신청해 놓은 상태이다. 따라서 키친바흐 제품의 속자재는 포롬알데히드 방출이 거의 없는 수퍼E0급의 자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표면에는 이와같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친환경 특수표면재를 사용하고 도장제품들도 모두 친환경 도료를 사용함으로써 국내외에서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최고수준의 친환경 부엌가구라는게 한샘측의 설명이다.
친환경 신소재 ‘나노페트(Nanopet)’는 기존의 PVC, LPM, HPM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구표면재의 단점인 표면경도가 약해서 긁힘자국등이 잘발생하거나 고광택 유지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뿐 아니라 환경적인 문제인 아토피 등의 질환을 유발하는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저감 효과와 다이옥신의 발생을 없애기 위한 대체 소재로 한샘이 개발한 소재이다.
나노페트는 HPM, LPM, PP, 올레핀 등 3차원 디자인이 지원되지 않는 단점과 PET에는 직접 인쇄가 잘 되지 않는 단점까지도 해결하여 어떠한 디자인도 지원이 가능하며 다양한 패턴도 적용이 가능한 소재이다.
나노페트는 오버레이(평면접착), 레핑(감싸기 접착), 멤브레인(곡면접착) 공법 등 모든 공법을 소화할 수 있도록 개발한 소재로 공법의 한계도 극복하였다. 또한 은나노를 첨가하여 항균, 살균, 세균성 냄새제거, 정전기 방지, 전자파 차단, 항온, 단열 등의 기능까지 있어 어떠한 소재도 따라올 수 없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친환경 나노페트의 표면의 최종 마감은 하이글로시 유브이(Highlossy UV)코팅으로 기존 하이글로시 시트류보다 표면 광택도, 표면 눌림 현상, 표면 긁힘, 내후성(색변화방지), 내오염성이 월등히 우수하다.
인쇄품질 또한 기존 pet에 전사 방식의 인쇄 공법을 배제하고 친환경 올레핀 소재인PP원단에 직접 패턴을 인쇄하여 비용의 절감과 인쇄 선명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한샘이 개발하여 사용 중인 표면재 중 또 다른 하나는 현재 키친바흐 전 제품의 몸통 표면재로 사용하는 ‘나노포일(NanoFoil)’이다. 나노포일도 기존 표면재의 약점을 극복한 친환경 소재로서 다양한 패턴의 인쇄와 3차원의 곡면 접착은 물론 열압성형이나 상온접착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개발한 특수 소재이다. 공법에 있어서도 오버레이, 레핑, 멤브레인 공법이 모두 적용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소재에 성형이 가능하고 별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1가지 소재로 몸통, 도어, 레핑제, 에지재로 사용이 가능하고, 가구마감재로는 세계 최고수준의 친환경 소재로 인체나 환경에 전혀 무해하다. 또, 표면질감과 경도가 우수하고 내구성이 강하여 황변현상(색상변화현상)이 없고, 은나노처리로 냄새나 전자파, 곰팡이, 세균 등 유해성 물질 제거 및 차단효과까지 있다.
한샘 관계자에 따르면 이러한 신소재를 자체개발·사용하게 됨으로써 “은나노의 특성인 살균, 방충, 항균의 기능으로 소비자의 건강에 도움이 되고, 국내가구산업의 친환경소재 사용을 촉진하여 국내 환경소재 개발 및 보급에 이바지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친환경소재를 사용하여 발생한 매출을 관련산업의 연구/개발에 재투자하여 보다 좋은 소재개발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한샘은 ‘나노페트’와 ‘나노포일’에 대해서 특허를 출원 중이며, 특히 친환경 자재로 인체 유해 물질의 발생이 없어 선진국으로 수출까지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이뿐만 아니라 이러한 표면마감재를 전제품에 확대 적용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새집증후군이나 아토피의 스트레스로부터 해방시켜줌으로서 ‘주거 환경개선을 통하여 인류발전에 기여한다’는 한샘의 사명(社命)을 실현에 나갈 방침이다.
나노페트는 키친바흐 보급형으로 6월 출시한 KB(키친바흐)300번 ‘실버’와 기존제품인 KB400번 ‘핑크우드’에 적용되었다. 특히 이번에 출시한 300번과 400번 키친바흐 신제품은 기존의 키친바흐 제품의 보급형 사양으로 가격을 낮추면서도 제품의 품질은 수입 최고급 제품 수준을 유지한 제품으로 핑크와 화이트, 그리고 그레이 컬러의 도어를 콤비할 수 있도록 제품을 출시하였다.
향후 한샘은 표면에 고광택 도장마감이나 난연, 방염처리까지 가능하면서 기존 물성과 내구성 질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나노 시리즈 표면재’ 개발을 진행 중이며 개발 완료시 꿈에 그리던 미래의 신규 소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1월 출시한 키친바흐는 현재까지 매월 3~40%의 판매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5월에는 15억원 가량의 매출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한샘은 보급형 키친바흐 출시로 판매성장세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 참고자료 : 가구에 사용중인 표면자재 설명
1. PVC(polyvinyl chloride)
PVC소재는 다른 소재에 비하여 제조 과정도 복잡하지 않고 원재료인 수지 가격도 저렴하여 시트에 다양한 색상 다양한 패턴으로 인쇄하고 엠보스롤로 각종 문양을 표시하여 레핑용(감싸기 접착), 오버레이용(평판접착), 멤브레인용(곡면접착) 뿐만 아니라, 에지제(재단면 마감) 등의 다용도로 가구산업에 제일 큰 비중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인화성이 강하고 소각시 다이옥신이나 염소가스 등 인체나 환경에 유해한 유동성 물질들이 발생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한 소재로 분류, 점차 사용이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일본은 일반 가구재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도 관납분, 주택공사 납품분을 포함 일류 건설사 납품분에는 PVC 마감재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2. LPM (low pressure melamine laminate)
LPM은 종이에 다양한 패턴으로 인쇄를 한 다음 멜라민수지에 함침 건조된 시트를 여러가지 문양의 경면판으로 열압 성형하는 소재로 질감과 내구성에 있어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열압 성형하는 과정에서 코어재(속자재) 물성과 강도를 저감(보통 10~15%저감)시킨다든가 패널에 열압접착 후 열이 식기 전(양생)에 후공정 투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여 생산효율이 낮다. 또,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곡면 성형을 할 수 없어 평판 디자인 외에는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LPM자재를 가구에 선택하여 사용하려면 에지나 레핑용, M/B용은 별도의 다른 소재를 같이 사용해야 하고 뿐만 아니라 수지에다 함침을 한 소재의 특성상 완전한 친환경자재(성형전 시트 자체로는 HB마크 취득이 어려움)라고 볼 수는 없다.
3. PP (poly propylene)
PP소재는 PVC보다는 친환경적인 소재이고 PVC와 유사한 작업성과 장점을 갖고 있고 특히 열이나 외부 온습도에 저항력이 강하여 특수하게 열압 성형(멤브레인)하는 판넬의 후면이나 도장판넬 후면 등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성형작업이 까다롭고 접착력 보증이 어려워 시트의 접착면에 항상 프라이머 처리를 해야하고 인쇄 작업시 특수 잉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와 정전기 발생이 다른 소재보다 강하여 쉽게 때가 타는 문제가 있으며, 표면경도가 떨어지고 오염성에 약하며 절삭작업시 찌꺼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시트 제조공정에서 별도 특수 처리(특수안료혼합 / UV코팅 / 방전처리 등)를 해야 이 문제를 부분적으로나마 해결할 수가 있다.
4. CPR(coating paper), F/F (finishing foil)
CPR이나 F/F은 종이에 인쇄를 한 다음 PU나 UV코팅을 한 소재로써 CPR과 F/F차이는 F/F는 코팅하기 전에 멜라민수지에다 함침을 한 차이 정도로 볼 수 있다. 상기 다른 소재에 비하여 인체나 환경에 친화적인 소재로 유럽이나 일본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LPM이나 PVC와 비교 질감이 떨어지고 표면경도와 방습성이 약하고 절삭시 찌꺼기가 발생하여 가공 효율저하와 코어재의 상태에 따른 은폐력, 요철 등의 문제가 있어 별도의 특수 처리를 해야 한다든가 취급이 까다롭고 사용처가 제한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hanssem.com
연락처
한샘 홍보팀 김동성 계장 02-590-3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