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년4월 석유소비, 전년동월비 6.9% 감소
ㅇ 부문별로는, 수송부문이 선박 화물물동량 증가로 2.3% 증가하였고, 가정·상업부문이 계절적 요인에 따른 실내등유의 수요 증가로 7.1% 증가
* 수송부문 B-C유 소비 : (05.4) 1,724천B → (06.4) 1,923천B (+11.5%)
* 가정·상업부문 실내등유 소비 : (05.4) 1,097천B → (06.4) 1,395천B (+27.2%)
- 산업부문은 납사와 B-C유 소비가 크게 감소하면서 13.8% 감소하였고, 발전부문도 난방용 석유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29.0% 감소
* 납사소비 : (05.4) 23,505천B → (06.4) 20,015천B (Δ14.8%)
* 산업부문 B-C유 소비 : (05.4) 3,484천B → (06.4) 2,981천B (Δ14.4%)
< 감소유종 >
◆ 경유 : 수송용 경유소비(+2.2%)가 증가하였으나, 산업용 등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전년동월비 0.1% 약간 감소
* 수송용의 경우에도 경유차량 등록대수의 증가세를 감안하면 실질적으로는 감소
* 수송부문 경유소비 : (05.4) 9,403천B → (06.4) 9,606천B (+2.2%%)
* 산업부문 경유소비 : (05.4) 1,505천B → (06.4) 1,110천B (Δ26.2%)
* 경유자동차 신규등록대수 : (05.1~4) 151,226 → (06.1~4) 159,306천B (+5.3%)
◆ B-C유 : 고유가 영향으로 산업용·발전용 B-C유 수요가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전년동월대비 12.2% 감소
* 산업용 B-C유 소비 : (05.4) 3,484천B → (06.4) 2,981천B (Δ14.4%)
* 발전용 B-C유 소비 : (05.4) 2,610천B → (06.4) 1,742천B (Δ33.2%)
◆ 납사 : LG석유화학 등 석유화학사들의 정기보수 영향으로 14.8% 감소
◆ LPG : 수송용 및 난방용 수요 감소로 전년동월대비 6.4% 감소(부탄 Δ5.3%, 프로판 Δ8.0%)
* 수송부분 LPG소비 : (05.4) 3,633천B → (06.4) 3,575천B (Δ1.6%)
* 가정상업부문 LPG소비 : (05.4) 2,268천B → (06.4) 2,074천B (Δ8.6%)
< 증가유종 >
◆ 휘발유 : 휘발유승용차 등록대수의 증가에도 불구, 전년동월 대비 약간 증가(+1.1%)한 수준
* 휘발유 승용차 신규등록대수 : (05.1~4) 170,167 → (06.1~4) 186,916천B (+9.8%)
* 휘발유소비 : (05.4) 4,746천B → (06.4) 4,800천B (+1.1%)
◆ 등유 : 실내등유(+28.6%)와 보일러등유(+18.5%)의 소비가 모두 큰폭 으로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전년동월비 26.4% 증가
ㅇ ‘06.1~4월중 석유소비는 총 256.2백만 배럴(전년동기비 4.8% 감소)
□ ‘06.4월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국제석유제품가격의 상승으로 경유(+94.2%), B-C유(+32.7%), 항공유(+48.6%) 등의 수출이 급증하면서 전년동월대비 36.3% 증가한 21.6백만배럴이며, 수출금액은 전년동월대비 78.2% 증가한 1,597.0백만불을 기록
ㅇ 수출단가는 ‘05.4월 56.64($/B)에서 ’06.4월 73.88($/B)로 30.4% 상승
*‘06.4월 석유제품 수출금액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품목 중 MTI 3단위 기준 5위를 기록(1위 반도체, 2위 자동차, 3위 선박, 4위 무선통신기기)
ㅇ ‘06.1~4월중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79.2백만배럴(+7.6%), 수출금액은 5,356백만불(+46.0%)
□ '06.4월 석유제품 수입물량은 전년동월대비 18.2% 감소한 13.7백만배럴, 수입금액도 5.4% 감소한 880.3백만불을 기록
ㅇ ‘06.1~4월중 석유제품 수입물량은 56.2백만배럴(Δ6.7%), 수입금액은 3,508.9백만불(+16.6%)
□ '06.4월 원유도입량은 전년동월대비 10.9% 증가한 69.7백만배럴, 도입금액은 37.5% 증가한 4,230백만불을 기록
ㅇ ‘06.1~4월중 원유도입량은 288.3백만배럴로 전년동기대비 4.1% 증가하였으며, 도입금액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42.5% 증가한 17,126백만불을 기록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산업자원부 석유산업과 과장 한진현 02-2110-5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