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룡사지 삼층석탑(보물 제1188호) 탑신석 발견

대전--(뉴스와이어)--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 윤근일)는 경주시의 의뢰로 실시한 ‘경주남산(사적 제311호) 천룡사지 삼층석탑(天龍寺址 三層石塔, 보물 제1188호) 주변 배수로 정비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결과 1층 탑신석의 결실된 부분을 현대 축대석 사이에서 발견하여 석탑의 원형복원에 중요한 자료를 추가하게 되었다.

새로이 발견된 1층 탑신석의 모서리 부분은 탱주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깨어졌으며, 크기는 높이 39.0㎝, 너비 38~41㎝, 탱주너비 20~21.5㎝로 암질은 흑운모가 많은 알칼리화강암이다. 깨어진 표면에는 석탑의 1층 탑신석과 동일한 장석띠를 이루고 있으며, 결합 시 정확하게 접합되어 동일한 부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굴조사는 장마 때 계곡에서 넘친 물이 국가지정문화재인 천룡사지 삼층석탑으로 흘러들어, 석탑의 안전을 위협한다는 지적에 따라 기존 배수로를 옮기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조선시대 후기의 축대, 건물지, 배수로, 수혈유구가 조사되었고, 조선시대 축대의 상층에서는 196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현대 축대시설이 확인되었다. 이 현대 축대에 사용된 할석들 사이에서는 천룡사지 삼층석탑의 1층 탑신석편이 발견되어, 석탑이 도괴된 이후 파손된 탑재 일부가 석축을 쌓는데 쓰였음이 밝혀졌다.

이번 조사 성과는 앞으로 석조문화재 정비·복원작업을 진행할 때 지상에서 확인되는 부재뿐만 아니라, 주변 지하에 묻혀 있는 석조문화재편에 대한 확인 및 수습 발굴조사를 사전에 실시하여야 함을 일깨워준다.

또한, 향후 천룡사지 일대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정비계획이 마련되고, 천룡사지 삼층석탑(보물 1188호)에 대한 원형복원도 함께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윤형원, 최장미 054-777-884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