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매체를 바라보는 다양한 접근방식 ‘스토리텔링’ 출간

서울--(뉴스와이어)--스토리텔링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 혹은 구전을 의미한다. 즉, 사건과 사물에 대한 사실 보도가 아닌 인물과 사건에 대해 이야기로 지어서 말하는 것이다. 사건과 그 사건에 얽힌 인물이나 배경 등을 설명해주는 것이다. 현재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스토리텔링이다. 텔레비전의 휴대폰 광고를 보면 남녀의 러브스토리를 통해 휴대폰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고 있다. 이것이 바로 세상을 감각적으로 인식하고 발화하는 방식이 첨단기술과 접목된 스토리텔링인 것이다.

『스토리텔링』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Step1(Storytelling)은 가장 오래된 스토리텔링인 신화를 아시아, 중동·아프리카, 아메리카, 유럽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Step2(Storyfactor)는 스토리텔링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매체적 요소들을 그래픽, 텍스트, 오디오, 비추얼로 나눠 다룬다. Step3(Storymaking)은 스토리의 산업적 의미를 영화,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게임을 통해서 살펴본다. Step4(Storybuilding)는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을 콘셉트, 시놉시스, 캐릭터, 패턴의 측면에서 알아보며, Step5(Storyretelling)는 신화·전설·민담·동화 등의 전통적 이야기 장르를 현대적인 매체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적용하는 각색방법에 대해서 다룬다.

★★차 례
Step1_Story+Telling 아시아 신화이야기|중동·아프리카 신화이야기|아메리카 신화이야기|유럽 신화이야기
Step2_Story+Factor 그래픽 요소|텍스트 요소|오디오 요소|비추얼 요소
Step3_Story+Making 영화 만들기|애니메이션 만들기|텔레비전 만들기|게임 만들기
Step4_Story+Building 콘셉트 구축하기|시놉시스 구축하기|캐릭터 구축하기|패턴 구축하기
Step5_Story+Retelling 신화 다시말하기|전설 다시말하기|민담 다시말하기|동화 다시말하기

저 자 소 개

조은하_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언론대학원과 한국게임산업개발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시나리오 작가 및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나리오 인물 작법』, 『시나리오 구성 작법』, 『알렙프로젝트』등이 있으며, ‘나는 사슴이다’ ‘화성으로 간 사나이’ ‘원더플 데이즈’ 등 다수의 시나리오가 있다.

이대범_ 강원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는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의 극예술』(공저) 『한국연극 바로보기』(공저) 『한국의 전통극과 현대극』(공저) 『한국근대희곡론』 등 다수가 있으며, ‘1920~30년대 프로희곡 연구’ ‘김상렬 연구’ ‘민병휘 연극 비평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가격_ 18,000원 면수_ 316쪽
ISBN_ 89-5526-321-X 판형_ 크라운판
발행일_ 2006년 5월 15일

웹사이트: http://www.bookshill.com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