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촌 이석윤 ‘찻사발展’... 일본에 이어 경인미술관서 6월 14일부터 20일까지 전시

서울--(뉴스와이어)--일본 교토 노무라 미술관이 인정하고 일본 언론이 격찬한 찻사발의 명인 양촌(陽村) 이석윤씨의 찻사발전시회가 6월 14일부터 6월 20일까지 인사동 경인미술관에서 전시되어진다.

찻사발가운데 일본의 국보가 보존되어있는 교토에서 인정받은 이석윤고려다완전을 일본에서 마치고 한국에서 찻사발전을 통해 국내에 작품들을 소개한다. 이석윤씨는 한국미술대상전 대상과 은상을 수상하였고, 각종 미술대전에서 출품하여 작품들을 전시한바있다.

명품 찻사발을 국가별로 한 점씩 소개하면 한국의 진주사발(일명: 井戶), 중국의 천목찻사발(天目茶碗), 일본의 락(樂)찻사발이 있다. 말차도를 가장 애용하는 일본에서는 이미 400년 전에 찻사발의 황제자리를 우리의 진주사발에 빼앗겼다. 현재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 보존되어지는 찻사발이 진주사발이다.

막사발은 일본에서는 400여년 전부터 이도다완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모양이 단아하고 신비로워 당시 조선인 도공이 만든 42개의 막사발 중 하나가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 현재 교토의 대덕사에 보관되어 있을 정도다. 일본의 국보가 보존되어있는 교토에 노무라 미술관은 전시자체가 쉽지 않다. 위원들의 검수를 거친후에 전시회가 이뤄진다. 이석윤씨는 지난 주간동안 일본 교토 노무라 미술관에서 찻사발전시를 통해 좋은 평가를 받았고 일본 유력 일간지에 보도되는 등 좋은 전시회로 평가받았던 한국에서 전시회를 열게 된 것이다.

관람 포인트 1. 찻사발의 자연적 발색이 아름답다

한국의 깊고 푸른 가을 하늘을 담고 있으며 세련미의 극치인 고려청자 사발과 백의민족을 상징하는 백자사발도 명품 찻사발이나 찻잔으로서는 차갑게 느껴지는 한계가 있다. 장작가마에서는 요변(窯變)이라는 특이한 현상이 있다. 요변이란 가마에서 타는 장작불로 인한 화학적 결합에 의해 나타나는 도자기의 자연적 발색이다. 양촌 이석윤선생의 작품에는 요변현상의 미학을 경험할 수 있다.

관람 포인트 2. 찻사발의 굽의 미학을 경험할 수 있다

찻사발의 숨어있는 아름다움이 있다면 굽이다. 좋은 찻사발에는 사기장의 깊은 정성이 숨어 있다. 말차를 마시고 난 뒤 사발을 뒤집어 보면. 굽 부분에 사기장의 모든 노력이 나타나 있다. 굽 깎기를 통해 찻사발의 자연미를 최대한 표현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 장인의 흔적을 보게 될 것이다. 찻사발에 있어서 굽 부분의 자연미가 사기장의 실력이다. 심미안을 가진 차인이라면 찻사발의 굽을 통해 도예의 진수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이석윤선생의 찻사발에는 굽의 미학을 경험해 볼 수 있다. 일본 교토의 대덕사에 전시되어져 있는 국보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높은 수준의 작품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kyunginart.co.kr

연락처

취재 연락처 : 02-733-4448 ( 경인미술관 )
  이 석 윤 ( 011-574-8517 )

이 보도자료는 경인미술관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