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공, 화성시 문화유적 분포지도 발간

성남--(뉴스와이어)--한국토지공사(사장 김재현, www.iklc.co.kr) 토지박물관(관장 조유전)에서는 화성시와 공동으로 경기도 화성시 일대의 문화유적 분포 현황 보고서인 “화성시의 역사와 문화유적”과 아울러 문화유적 분포지도를 발간하였다.

이번 보고서와 지도책자가 발간됨에 따라 최근 화성 동탄신도시를 비롯하여 화성시 각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크고 작은 규모의 개발사업에 앞서 손쉽게 유적 분포를 파악할 수 있어 개발계획 수립시 문화유산을 보존할 수 있는 적절한 보존대책 수립이 가능해졌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번 조사를 위해 2005년 5월부터 2006년 6월까지 1년간에 걸쳐 약 2억 평에 가까운 화성시 땅 전역을 토지박물관 학예사들로 구성된 조사팀이 직접 발로 다니며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총 517개소의 유적을 조사하여 보고서에 수록하였으며, 이중 160여 개소는 이번 조사를 통해 새롭게 발견한 유적들이다.

새로 발견한 유적 가운데에는 청동기시대 유물산포지를 비롯하여 동탄면 금곡리 · 송산동 · 정남면 관항리 · 오두산 유물산포지 등 100여개 소에 이르는 한성백제시기의 유적이 포함되어 있다.

이 유적들은 비교적 규모가 큰 삼국시대 초기 백제의 세력이 화성지방에 자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이다.

또, 마도면 백곡리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절터를 새롭게 발견하기도 하였는데, 이 절터에서는“白寺”라는 명문이 찍혀 있는 기와가 다수 출토되었다. 이 절터는 우리 나라 문헌기록에 등장하는 모든 사찰에 대한 내용이 소개된 “한국사찰전서”에도 기록이 보이지 않는데, 출토된 명문 기와류와 유물들로 볼 때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통일신라시대에 번성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이번 조사 성과에 대하여 지건길 교수(전 국립중앙박물관장, 현 동아대학교 석좌교수)는“이번에 토지박물관에서 조사한 유적들은 하나하나가 다 학술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것들이며, 짧은 기간에 그렇게 많은 조사 성과를 올리기도 쉽지 않지만 앞으로 이 유적들을 어떻게 관리할까가 더 중요한 문제이다”라고 평가하였다.

한편, 토지박물관에서는 유적 분포를 알 수 있는 지도책 외에도 화성시 문화유적 분포현황을 다양한 방법으로 검색하여 실무에 활용하기에 편리한 검색프로그램도 개발하여 분포지도와 함께 학계 및 공공기관, 도서관 등에 무상으로 배포한다.

웹사이트: http://www.iklc.co.kr

연락처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김성준 031-738-7775 김충배 031-738-7692
한국토지공사 공보팀 031-738-7654, 721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