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국제 표준서 ‘맹위’ 떨친다

대전--(뉴스와이어)--IT분야 국제 표준을 선도하며 국위선양에 노력하는 ETRI가 명실상부한 국제 표준전문가 그룹으로 거듭나고 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임주환)는 지난 12일부터 16일까지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된 국제표준회의에서 통합망표준연구팀장인 강신각 박사가 3년 임기의 WG7 의장직에 재선되었다고 밝혔다.

ETRI 강박사가 재선에 성공한 회의는 ‘시스템간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표준화 위원회이다.

강박사의 의장직 재선이 갖는 의미로는 멀티캐스트 통신 분야에서 그동안 국제표준을 계속 주도하던 ETRI가 국제표준 관련 개발작업을 한 발짝 앞서 수행할 수 있는 연속성에 있다. 강박사는 지난 2004년 11월부터 이분야 의장직을 수행해 왔다.

ETRI 강신각 박사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NGN/BcN 구축이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멀티캐스트 응용서비스의 도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멀티캐스트 표준기술이 향후 다양한 멀티캐스트 응용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반 프로토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ETRI가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제출한 “일대 다자간에 중계방식 기반의 멀티캐스트 전송기능을 제공하는 표준기술이 국제표준 최종 승인을 위한 투표절차 추진이 승인되었다고 밝히면서 금년 1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 예정인 표준회의에서도 ITU-T 권고표준으로 채택하기 위한 최종 승인이 이루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제표준 분야의 꽃’이라 불리우는 ITU ‘전기통신표준화(TSB)' 국장 직에 ETRI 정보통신서비스연구단장인 박기식 단장이 지원, 또 한번 ETRI의 위상제고와 국위 선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이번 ETRI 박기식 단장의 TSB국장 진출을 위해 정보통신부와 외교통상부를 비롯, 범 정부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ETRI는 최근 ‘모바일 웹 표준’ 주도를 비롯, IPv6의 국제표준 채택, 멀티코덱기술의 국제표준 채택, 리눅스의 국내표준 채택, NGN 통합번호체계 국제표준화 기반확보, 새로운 국제표준전문가의 추가확보 등에 관한 국제표준 관련 성과를 올렸다.

현재, ETRI에는 박기식, 강신각 박사를 비롯, ITEC(IT기술이전본부)을 중심으로 100여명의 국제표준전문가가 포진해 있으며 IT관련 기술의 표준화를 논의하고 자국의 이해와 입장을 앞세우는 기술 전쟁터에서 정보통신의 최첨병으로 한국의 IT발전과 주도권 확보를 위해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용어설명>

o ISO/IEC JTC1/SC6 :

JTC1/SC6는 정보기술에 대한 국제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ISO와 IEC가 공동으로 설립한 JTC1(Joint Technical Committee 1) 합동위원회 산하에 설치된 위원회로 시스템간 정보교환을 위한 각종 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개발하는 표준회의이다. Working Group 7은 네트워크 및 전송 계층에 대한 ISO/IEC 국제표준을 개발하는 작업그룹 회의로 최근 한국, 영국, 미국, 중국 등이 적극 참여하는 가운데 종단간 멀티캐스트 통신기술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 작업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o FDIS (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

ISO/IEC에서의 국제표준 제정절차 중 최종 국제표준 승인 여부를 질의하는 투표단계로, 기술적인 내용은 이미 의견수렴이 완료되었다는 전제하에서 간단한 표준 편집상의 오류 이외의 기술적인 의견 제출을 허가하지 않으며, 국제표준 채택에 대한 찬성, 반대만을 각 회원국이 응답하도록 하는 투표 단계이다.

o RMCP (Relayed Multi-Cast Protocol) :

현재 인터넷통신망에서 멀티캐스트 전송은 라우터에 탑재된 IP 멀티캐스트 기술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많은 라우터가 IP 멀티캐스트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고, 또한 IP 멀티캐스트 기능을 지원하고자 할 때 야기되는 라우터의 성능감소 등의 이유로 IP 멀태캐스트 기능이 원활하게 지원되지 못하고 있다. ETRI가 독자적으로 개발, 제안한 RMCP 표준기술은 인터넷통신망에서 라우터들이 IP 멀티캐스트 기술을 제공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종단간에 멀티캐스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로 다지점 데이터 신뢰전송, 인터넷방송 등의 응용 서비스에 적용 가능하다. ETRI는 그동안 중계방식 멀티캐스트의 개념 및 프로토콜 동작 모델을 제안하여 2005년도에 ITU-T X.603 | ISO/IEC 16512-1: RMCP-1 - Framework 국제표준으로 채택시킨바 있으며, RMCP-2는 RMCP-1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일대 다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명시하는 표준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요
ETRI는 전전자식교환기 (TDX),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CDMA)등의 정보통신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우리나라가 정보통신 강국으로 진입하는데 획기적인 기여를 해 온 국내 최대의 정보통신 국책 연구 기관이다.

웹사이트: http://www.etri.re.kr

연락처

통합망표준연구팀장 강신각 042-860-6117
홍보실 정길호 042-860-675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