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 신약개발 R&D 추진’을 위한 3개 출연(연)간 협력합의서 조인
이번 협력 합의서 체결식에는 과학기술부 혁신본부 임상규 본부장을 비롯하여 기초기술연구회 박상대 이사장, 산업기술연구회 이호일 이사장, KIST 금동화 원장, 생명(연) 이상기 원장, 화학(연) 이재도 원장등이 참석하였다.
정부는 지난 2006년 2월16일 제13차 과학기술관계장관 회의에서 글로벌 신약개발 성공모델 조기 창출을 위한 「범부처 신약개발 R&D 추진 전략」을 확정한바 있다. 이러한 추진전략에 따라 산학연 역할 분담을 통해 글로벌 기준에 맞는 신약후보 물질을 도출하고 한정된 신약 R&D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국내 글로벌 신약개발 역량강화를 위해 3개 출연(연)간 협력합의서 체결하였다.
이번에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3개 출연(연)은 2007년도부터 질환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약 후보물질을 도출하여 비임상 전 단계에서 관련 국내외 기업에 라이센싱하기 위한 협력연구를 수행하게 되며, 글로벌 신약의 성공을 위해 각 기관의 연구인력, 연구비, 연구장비 등을 최대한으로 지원하고, 연구인력의 집중참여와 유연한(Flexible) 연구조직이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지난 1987년 물질특허제도의 도입과 함께 본격적으로 신약개발연구를 시작하여 14개의 국내 신약을 개발하고, 2003년 팩티브의 FDA 신약승인으로 세계 글로벌 신약 개발국이 된 우리나라는 “범부처 신약개발 R&D추진”을 위한 3개 출연(연)간 협력합의서 체결을 계기로 신약개발 선진국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협력합의서 체결에 따라 향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약후보물질이 도출되고 지속적인 글로벌 신약의 라이센싱을 추진함으로써 국내 글로벌 신약개발의 성공과 제약산업의 글로벌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지난 1966년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연구기관으로 설립되었다.
웹사이트: http://www.kist.re.kr
연락처
KIST 홍보팀 최종상 02-958-6087, 016-739-1745